-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의 지각을 구성하는 토양이나 암석의 종류와 분포 상태. 금산군 지역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를 기저(基底)로 하여 시대 미상의 변성 퇴적층과 고생대 퇴적층이 분포하며, 이를 중생대 화강암류가 관입(貫入)한 후 중생대 퇴적층과 화산암 및 반심성암이 그 상부를 덮고 있다. 또한 이들 암석들을 반암류가 다시 관입하고 있으며, 제4기 충적층이 부정합(不整合)으로...
-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 나타나는 지표면의 기복 및 형태. 금산군은 충청남도의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발 고도 400~700m의 산지로 둘러싸인 전형적인 산간 분지이다. 금산군의 평균 해발 고도는 약 250m로 충청남도의 평균 해발 고도인 약 100m보다 2.5배나 높다. 금산군은 ‘충청남도의 알프스’라고 불리는 청양군보다 높아서 충청남도의 제일가는 산악군(山岳郡)이라고 할 수...
-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해발 고도가 더 높은 지형으로 둘러싸인 평지. 금산군은 산간 분지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이러한 산간 분지들은 일차적으로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다시 구릉지나 침식면으로 둘러싸인 이중 분지의 형태를 띠고 있다. 구릉지나 침식면이 산간 분지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이의 발달 과정을 통해 분지의 지형 발달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금산분지의 지형 특성은 분지...
-
충청남도 금산군의 주요 산지들을 구성하는 산맥. 산맥을 가로지르는 ‘노령(蘆嶺)’ 고개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노령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와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北二面) 사이의 도계(道界)를 이루는 고개이며, 해발 고도는 276m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 있는 기복이 적고 평탄하며 비교적 낮은 지형. 금산군 지역은 지형적으로 산간의 침식 분지를 이루고 있는데, 침식 분지 내에는 배후 산지, 침식면과 구릉지, 개석지 및 충적지로 구성된 하나의 지형 체계가 형성되어 았다. 이러한 지형 체계 중 충적지는 금강(錦江)의 지류 하천들에 의해 발달된 평야로 주로 논으로 이용되고 있고, 구릉지의 골짜기도 국지적으로 소규모...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구석리와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주천면 신양리의 경계를 이루는 단일 암체의 암석 돔. 성치산[671.2m] 정상부에서 남쪽 사면으로 크게 3개의 급애가 형성된 것처럼 보이나 단일한 암체로 구성되어 있다. 산 전체를 아우르는 대규모 지형이지만, 토어(tor), 나마(gnamma), 그루브(groove)와 같은 소규모 풍화 지형도 함께 나타난다....
산
-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땅의 부분.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형은 노령산맥(蘆嶺山脈)의 산지들, 금강(錦江)과 그 지류들, 금산분지(錦山盆地)로 구성된다. 충청남도에서 가장 높은 서대산(西臺山)[903.7m]과 대둔산(大芚山)[877.7m]은 노령산맥의 주봉(主峰)들이다. 그리고 금강이 남동쪽 모퉁이를 흐르며, 이곳에서 봉황천(鳳凰川)이 유입한다. 금강은 심하게 감...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신정리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남쪽 경계를 이루며,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용당면 송풍리,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의 경계에 위치해 있어 3개 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두두리에 있는 산. 국사봉은 전국적으로 많이 산재해 있는 지명으로 138개가 존재한다. 충청남도 금산군의 국사봉은 이 중 해발 고도가 가장 높다.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과 진산면 경계의 월봉재 부근에도 동일한 지명의 봉우리[496.4m]가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진산면, 금성면, 남이면에 걸쳐 있는 봉우리. 월봉산 남쪽 1.2㎞ 지점에 위치한 열두봉재를 기점으로 남쪽 능선을 따라 500m 전후의 봉우리가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마수리와 진산면·복수면·추부면의 경계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형은 크게 바깥쪽의 배후 산지와 안쪽의 침식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배후 산지는 환상(環狀) 형태로 비교적 해발 고도가 높고, 침식 분지 내부에도 곳곳에 크고 작은 산들이 있다. 산지의 완경사 침식면 말단부에 형성된 구릉지 사이에 곡간(谷間) 충적지가 발달해 있고, 산지에서 흐르기 시작한...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건천리와 대양리 경계에 있는 산. 6·25전쟁 당시 군사 작전상 편의를 위해 해발 고도 654m의 백암산을 ‘600고지’로 부르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기반암을 이루는 서대산 응회암의 노출된 정상부가 흰색으로 보여 ‘백암산’이 되었다. 구적산(九赤山)이라고도 하는데, 예로부터 역평리 사람들이 산제나 무제를 지내고 개인의 소원을 빌던 구적굴이 있어 유래되었다고...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건천리, 대양리와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운주면 고당리 경계에 있는 산. 6·25전쟁 당시 군사 작전상 편의를 위해 해발 고도 714m의 하막산을 ‘700고지’로 부르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칠백이고지라고도 부른다....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묵산리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형은 크게 바깥쪽의 배후 산지와 안쪽의 침식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배후 산지는 환상(環狀) 형태로 비교적 해발 고도가 높고, 침식 분지 내부에도 곳곳에 크고 작은 산들이 있다. 산지의 완경사 침식면 말단부에 형성된 구릉지 사이에 곡간(谷間) 충적지가 발달해 있고, 산지에서 흐르기 시작한 하천은 침식 분지에 유입되어 중...
-
충청남도 금산군, 논산시,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에 걸쳐 있는 대둔산의 최고봉.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행한 「1:25,000 도엽」[장선]에는 대둔산[878.9m] 정상과 남서쪽에 마천대[836.6m]를 별도로 표기하고 있다. 실제 대둔산에서는 마천대를 정상으로 안내하고 있다. 대둔산 마천대는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과 충청남도 논산시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금산군의 경계는 배티재~상...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형은 크게 바깥쪽의 배후 산지와 안쪽의 침식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배후 산지는 환상(環狀) 형태로 비교적 해발 고도가 높고, 침식 분지 내부에도 곳곳에 크고 작은 산들이 있다. 산지의 완경사 침식면 말단부에 형성된 구릉지 사이에 곡간(谷間) 충적지가 발달해 있고, 산지에서 흐르기 시작한 하천은 침식 분지에 유입되어 중...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상곡리와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강천리 경계에 있는 산. 장령산~574m봉~매봉~대성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충청남도 금산군과 충청북도 옥천군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전통 시대에는 도 경계의 서쪽에 위치하는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보곡마을이라고 불리는 상곡리, 보광리 주민들은 매봉 아래 지내재를 통해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과 교류하여 옥천 생활권에 속하였...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방우리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 용포리의 경계에 있는 산. 베틀봉 남서쪽 450m에 위치한 517.5m봉우리를 ‘베틀봉’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517.5m봉우리는 베틀봉의 위성 봉우리로 볼 수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신동리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형은 크게 바깥쪽의 배후 산지와 안쪽의 침식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배후 산지는 환상(環狀) 형태로 비교적 해발 고도가 높고, 침식 분지 내부에도 곳곳에 크고 작은 산들이 있다. 산지의 완경사 침식면 말단부에 형성된 구릉지 사이에 곡간(谷間) 충적지가 발달해 있고, 산지에서 흐르기 시작한 하천은 침식 분지에 유입되어 중...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서대리와 군북면 보광리에 걸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형은 크게 바깥쪽의 배후 산지와 안쪽의 침식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배후 산지는 환상(環狀) 형태로 비교적 해발 고도가 높고, 침식 분지 내부에도 곳곳에 크고 작은 산들이 있다. 산지의 완경사 침식면 말단부에 형성된 구릉지 사이에 곡간(谷間) 충적지가 발달해 있고, 산지에서 흐르기 시작한 하천은 침...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건천리와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운주면 고당리 경계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서쪽 경계를 이룸과 동시에 전북특별자치도와 충청남도의 경계를 이룬다. 금산군의 최고봉으로 금산의 진산인 진악산[732m]보다 14m 높은 금산군의 대표 산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구석리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형은 크게 바깥쪽의 배후 산지와 안쪽의 침식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배후 산지는 환상(環狀) 형태로 비교적 해발 고도가 높고, 침식 분지 내부에도 곳곳에 크고 작은 산들이 있다. 산지의 완경사 침식면 말단부에 형성된 구릉지 사이에 곡간(谷間) 충적지가 발달해 있고, 산지에서 흐르기 시작한 하천은 침식 분지에 유입되어 중...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현내리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가당리 경계에 있는 산. 덕기봉~노고재~수로봉~갈선산~베틀봉 능선을 따라 충청남도 금산군 남부의 경계를 이루며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과 접한다....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수통리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형은 크게 바깥쪽의 배후 산지와 안쪽의 침식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배후 산지는 환상(環狀) 형태로 비교적 해발 고도가 높고, 침식 분지 내부에도 곳곳에 크고 작은 산들이 있다. 산지의 완경사 침식면 말단부에 형성된 구릉지 사이에 곡간(谷間) 충적지가 발달해 있고, 산지에서 흐르기 시작한 하천은 침식 분지에 유...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와 묵산리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형은 크게 바깥쪽의 배후 산지와 안쪽의 침식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배후 산지는 환상(環狀) 형태로 비교적 해발 고도가 높고, 침식 분지 내부에도 곳곳에 크고 작은 산들이 있다. 산지의 완경사 침식면 말단부에 형성된 구릉지 사이에 곡간(谷間) 충적지가 발달해 있고, 산지에서 흐르기 시작한 하천은 침식 분지에 유...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삼가리·엄정리, 금산읍 양지리, 금성면 화림리 경계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형은 크게 바깥쪽의 배후 산지와 안쪽의 침식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배후 산지는 환상(環狀) 형태로 비교적 해발 고도가 높고, 침식 분지 내부에도 곳곳에 크고 작은 산들이 있다. 산지의 완경사 침식면 말단부에 형성된 구릉지 사이에 곡간(谷間) 충적지가 발달해 있고, 산지에서...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와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가선리, 호탄리의 경계를 이루는 월영산의 최고봉. 대성산~천태산~월영봉~성주산으로 이어지는 산지가 충청남도 금산군의 동쪽 경계를 이루며, 천태산과 월영봉 사이 능선으로 금강이 통과한다....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와 용화리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형은 크게 바깥쪽의 배후 산지와 안쪽의 침식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배후 산지는 환상(環狀) 형태로 비교적 해발 고도가 높고, 침식 분지 내부에도 곳곳에 크고 작은 산들이 있다. 산지의 완경사 침식면 말단부에 형성된 구릉지 사이에 곡간(谷間) 충적지가 발달해 있고, 산지에서 흐르기 시작한 하천은 침식 분지에 유...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보광리와 추부면 성당리 경계에 있는 산. 장군봉을 충청남도에서 가장 높은 산인 서대산[904.1m] 정상으로 나타내는 지도나 글이 있으나, 장군봉은 서대산 정상에서 북동쪽으로 약 180m 떨어진 암봉으로 지형도에 나타나지 않는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과 남이면 경계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형은 크게 바깥쪽의 배후 산지와 안쪽의 침식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배후 산지는 환상(環狀) 형태로 비교적 해발 고도가 높고, 침식 분지 내부에도 곳곳에 크고 작은 산들이 있다. 산지의 완경사 침식면 말단부에 형성된 구릉지 사이에 곡간(谷間) 충적지가 발달해 있고, 산지에서 흐르기 시작한 하천은 침식 분지에 유입...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신안리에 있는 산. 충청남도 금산군의 지형은 크게 바깥쪽의 배후 산지와 안쪽의 침식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배후 산지는 환상(環狀) 형태로 비교적 해발 고도가 높고, 침식 분지 내부에도 곳곳에 크고 작은 산들이 있다. 산지의 완경사 침식면 말단부에 형성된 구릉지 사이에 곡간(谷間) 충적지가 발달해 있고, 산지에서 흐르기 시작한 하천은 침식 분지에 유입되어 중...
하천
-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서 지표수가 모여 일정한 유로를 가지는 유수의 계통. 금산군의 주요 하천들은 기반암의 특성에 따라 방향성이 구별되는데, 금산군 외곽의 산지를 이루고 있는 석영 반암류 지역을 통과하는 하천은 주로 북북서-남남동[NNW-SSE] 방향의 단열(斷裂)을 따라 발달한다. 반면에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내부에서는 소규모 지류 하천이 중심 저지로 모여드는 구심상(求心狀) 형태...
-
금강의 전체 유로 중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및 제원면 일대를 흐르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하...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를 흐르는 적벽 아래 금강 본류의 유로. 적벽강(赤壁江)은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 금강 변에 있는 적벽을 적시며 흐르는 강이라는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적벽은 부리면 수통리에 위치하고 있는 하식애로 ‘바위가 붉은 색’이라는 데에서 유래하였다. 일설로는 중국 양쯔강[揚子江] 상류에 있는 적벽, 적벽강과 흡사하다 하여 같은 이름이 붙었다고도 한다. 전설에 의...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를 흐르는 금강의 일부 유로. 천내강(川內江)은 금강 상류를 이루는 강으로 천내리 일대를 흐르는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에서 발원하여 충청남도 논산시와 대전광역시를 지나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관천리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흘러 남일면 마장리에서 봉황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상금리에서 발원하여 하금리에서 봉황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양지리에서 발원하여 신대리에서 봉황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화림리에서 발원하여 제원면 명암리에서 봉황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에서 발원하여 남일면 덕천리에서 봉황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상금리에서 발원하여 남일면 일대를 거쳐 제원면 대산리에서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불이리에서 발원하여 양곡리에서 현내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선원리에서 발원하여 창평리에서 봉황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예미리에서 발원하여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하천 중·하...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신정리에서 발원하여 덕천리에서 봉황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에서 발원하여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하천 중·하...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역평리에서 발원하여 하금리에서 봉황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에서 발원하여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하천 중·하...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월봉산에서 발원하여 복수면을 거쳐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에서 갑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
충청남도 금산군 대둔산과 천등산 사이 협곡에 위치한 하천. 공부상의 명칭은 괴목동천(塊木洞川)이지만 예로부터 ‘울창한 숲과 깨끗한 계곡에 구슬같이 맑은 물이 흐른다’고 해서 옥계천(玉界川) 혹은 옥계동(玉溪洞)이라 불리었다. 냇가 건너편에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옥계(玉溪)’라는 글씨가 바위에 새겨져 있다. 『고산향교지(高山鄕校誌)』에 ‘맑은 시냇물은 졸졸 흐르고 하얀 돌...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조정리에서 발원하여 제원면 저곡리에서 봉황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양곡리에서 발원하여 예미리에서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에서 발원하여 성당리에서 소옥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현내리 지삼티 북쪽에서 발원하여 북서 및 북쪽으로 흐르다 평촌리에서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고개
-
충청남도 금산군 산지의 봉우리 사이나 능선의 낮은 부분. 금산의 주요 고개는 13개로 구석리고개, 금산고개, 작고개, 마달령, 목사리재, 배티재, 샛고개길, 솔티재, 수리너머재, 오두재, 일흔이고개, 지삼티, 진이재이다. 그중 마달령, 배티재, 지삼티, 솔티재, 구석리고개를 ‘금산의 5대 고개’라고 부른다. 금산군의 고개들은 대전광역시와 충청북도 옥천군,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무주...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상곡리와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장찬리를 잇는 고개. 금산고개는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과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사람들의 중요한 이동로로 이용되었다. 금산 동부 군북면의 보광리, 상곡리를 일컫는 보곡산골은 행정 구역상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에 속해 있었지만, 생활권은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에 속했다. 이는 금산군 군북면이 금산 일대에서 가장 높은 지역에 자리...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와 대전광역시 동구 삼괴동을 잇는 고개. 마달령을 넘어 대전으로 가는 길목인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에는 원촌인 요광원(要光院)이 있어, 중요한 교통로로 이용, 관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묵산리에 있는 고개. ‘이치(梨峙)’의 어원은 ‘배티’이며 여기에서 ‘배’는 ‘고개’라는 의미를 갖는다. 배티재는 ‘고개’라는 의미가 삼중으로 사용된 지명이다. 동일한 지명이 우리나라에 많이 분포하는데, 대체로 인근에 배나무가 많아 배나무 고개라는 의미에서 ‘이치(梨峙)’가 생겨났고, 우리말로 바뀌는 과정에서 ‘배티’로 불리게 되었다. 실제 금산 배는 금산의...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와 대전광역시 중구 안영동을 잇는 고개. 버드내라 불리는 유등천의 상류 구간으로 샛고개길의 금산 구간은 대전 사람들의 유원지 역할을 하고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양지리와 남이면 하금리를 잇는 고개. 수리너머재와 관련된 직접적인 유래는 찾아볼 수 없으나, ‘수리’라는 지명이 홍수와 관련된 사례로 다수 발견된다. 인근의 진악산에는 큰 배와 대홍수에 연관된 전설이 전해진다. 천지개벽 당시 진악산은 물에 잠기지 않았고, 수리너머재는 물이 넘은 고개로 해석할 수 있다. 수리너머재는 지명이 통일되지 않아 큰재, 수리너미재로 불...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대양리와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주천면 무릉리를 잇는 고개. 충청남도 금산군 남서부의 경계로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주천면 무릉리를 연결하는 여러 고개 중에 하나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외부리와 제원면 명곡리를 잇는 고개. 금산군 군북면의 외부리와 천을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알려져 있으나, 지적도상 일흔이고개는 군북면 외부리와 제원면 명곡리의 경계에 위치한다. 「1:25,000 이원 도엽」에는 철마산 북쪽에 일월이재로 표시되어 있으나, 오기로 보인다....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상곡리와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강천리를 잇는 고개. 북쪽의 금산고개와 함께 금산군 군북면과 옥천군 이원면을 연결해 주는 고개길이다....
바위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외부리 계원봉 동쪽 사면에 있는 바위. 금산군 군북면 외부리 주유소 옆[범아주유소,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외부리 692]의 바위군으로 소개되고 있으나, 이웃한 금성면 마수리로 위치를 설명하는 문헌도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진악산에 있는 바위. 도구통바위는 진악산 물굴봉에서 남쪽 능선을 따라 약 400m 거리에 있는 절구통 형태의 바위이다. 풍수적으로 노적봉이 노적가리, 금산읍이 확, 도구통바위가 절구, 방아고개가 방아다리 형국이라 금산군이 풍요롭게 산다고 전해진다. 선사 시대 소도의 솟대로 전해지고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마장리에 있는 두꺼비 형상의 바위. 금산군 남일면 마장리는 1914년에 마장, 삼태, 호미 세 마을을 통합한 것으로, 호미동은 마장3리에 해당한다. 호미동 입구의 마장저수지 북쪽 진입로상에서 두꺼비 모양의 바위를 확인할 수 있다. 복수면 목소리에도 같은 이름의 두꺼비바위가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장대리에 있는 바위. 진산 김씨의 시조이자 효자로 알려진 조선 세조 때의 인물 김천석(金天錫)이 만년에 숭암마을에서 살면서 글을 읽었던 바위로 알려져 있다. 숭암 또는 문암이라고도 불리는데,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신대리에도 동일한 지명과 한자를 갖는 문암이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서대리와 성당리 일대 서대산에 발달한 암석 지형 경관. 서대산의 주 능선과 정상부, 북서쪽의 닭벼슬봉 부근에는 기반암이 노출되어 다양한 형상의 경관을 이루고 있다. 기암괴석들을 지형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분류하면 암석돔, 급애, 핵석, 토어, 협곡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에 있는 태고사 입구 역할을 하는 바위. ‘석문(石門)’이라는 지명은 산지를 통과하는 하천의 상류 입구부에 붙거나, 주요한 통로의 입구에 탑처럼 쌓여 있는 암석들이 출입문 역할을 할 때 붙인다. 태고사(太古寺)의 석문은 후자에 해당한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금산천과 긴내천 합류 지점에 있던 바위. 짚신이나 미투리를 삼을 때 형태를 잡아 주는 목재의 틀을 신틀이라고 하며, 이를 닮았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금산초등학교가 있던 마을 뒤에 장수가 짚신을 삼는 바위가 있어 신틀바위라 불렀다는 주장도 있다. 선돌, 선돌바위, 신털바우로 부르기도 하였다....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대양리에 있는 바위. 선돌은 한자어인 입석(立石)을 우리말로 풀어낸 용어이다. 양짓말 선돌이 있는 금산군 남이면 대양리에는 동일한 이름을 쓰는 입석마을이 있다. 양짓말 선돌은 입석마을의 경계 역할을 하는 지형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명암리에 있는 바위. 문헌에는 명암마을의 서쪽 산기슭에 자리잡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지역 안내판에도 서쪽 구릉지의 동쪽 사면[마을 쪽 사면]에 위치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지형도, 마을의 안내 지도 등에 나타난 위치가 제각각이다. 『금산군지』에 실린 사진을 참고하면 정확한 위치는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명암리 산8-1번지로, 명암삼거리에서 한국타이어 금산공...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장대리 숭암저수지 근방에 있는 바위. 아들이 용왕신의 딸에 빠져 백성 돌보기를 소홀히 하고, 급기야 학대에 이르는 모습을 본 천제가 아들과 며느리인 용왕신의 딸을 벌하는 내용의 설화가 전해진다. 용바위는 천제의 천둥과 번개를 맞은 용왕신의 딸이 형상화된 것이다. 용바위 주변에는 설화에서 기원한 병풍바위, 퉁수바위 등이 분포하고 있다. 서대산의 용바위와 구분하...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신대리에 있는 바위. 장군바위와 문암은 동일한 설화에서 기원한 지명으로 실제 두 지형이 인접하고 있다. 장군바위는 대둔산의 장군봉·장군암, 제원면의 금성리·명곡리, 부리면 양곡리의 장군바위와 동명의 지형이며, 문암은 ‘숭암’이라 부르는 문바위와 동명의 지형이다. 혼란을 피하기 위해 ‘장군바위와 문암’으로 지명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문암은 행정 구역상 금산군...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과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에 걸쳐 있는 천태산에 있는 암석 지형. 천태산[715m] 북쪽으로 대성산, 남쪽으로 월영봉으로 이어진다. 천태산과 월영봉 능선을 자르면서 금강이 흘러 협곡을 이룬다. 천태산 주 능선의 동쪽 사면은 급경사 지형인 급애가 노출되어 있고, 토어가 발달해 있으나, 서쪽 사면은 상대적으로 경사가 완만하고 식생이 피복하고 있는 비대칭적 사면 형...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매곡리 탕건암마을에 있는 바위. 금산군 남이면 매곡리는 양지촌, 중촌, 상촌 등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큰 마을인 양지촌의 북동쪽으로 750m가량 떨어진 곳에 탕건암마을이 있다. 행정 구역상 매곡2리에 해당하며, 「1:25,000 금산 도엽」에도 탕건암마을이 지명으로 표시되어 있다. 탕건암은 마을의 입구를 상징하는 석문 역할을 한다....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 봉황천 우안에 있는 바위.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하금리 용동[하금3리]의 용동교 하류 300m 지점에 위치한다. 행상은 사람의 시체를 실어서 묘지까지 나르는 도구를 의미한다....
폭포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성당리 서대산 북서쪽 개덕사 경내에 있는 폭포. 개덕사 경내에서 볼 수 있는 폭포는 ‘서대폭포[하]’로 표기되며, 해발 고도 320m 지점에 위치한다. 조금 더 상류인 해발 고도 415m 지점에 ‘개덕폭포’로 표기된 폭포가 하나 더 있다. 일반적으로 하류에 있는 폭포를 개덕폭포로 부른다....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건천리 신선봉 남쪽에 있는 폭포. 건천폭포를 소개하고 있는 자료는 매우 드물고 간단하게 언급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선야봉 오십폭포’로 많이 알려져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신천리 무자치골 계곡에 있는 12단 폭포. 봉화산 십이폭포는 봉화산[670.6m]~성치산[671.2m] 능선의 북쪽 무자치골 1.4㎞ 구간에 있는 크고 작은 12개 폭포를 이른다. 대부분 기반암 하상을 따라 흐르는 와폭이며, 제5폭포만이 높이 20m 정도의 수직 폭포이다. 제5폭포의 규모는 높이 20m로 알려져 있으나, 2002년 전국 자연환경 조사에서는 1...
둠벙∙못∙늪∙굴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 남쪽에 있는 웅덩이. 달래둠벙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고 있으나 그 위치를 비정하기 어렵고 지형도나 인터넷 지도에 나타나지도 않는다....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목소리를 통과하여 유등천으로 유입하는 하천에 발달한 웅덩이. 목소리와 수영리의 경계부에 위치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천의 주변에는 둠벙이 확인되지 않으며 하천 내부에 형성된 소가 연중 마르지 않고 물이 고여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방우리에 있는 연못. 마음씨 나쁜 부잣집 양씨[장자]가 밥 한술 얻으러 온 스님을 쫓아내자, 며느리는 몰래 퍼 준 쌀 한 바가지 덕에 겨우 살아나고, 그 집이 있던 곳이 벼락을 맞아 깊이 파여 물속에 잠겼다는 「장자못과 도깨비」 전설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한다. 이와 같이 옛날에 부자(富者)가 살았다고 하여 ‘장자못’인데, 또한 장자못과 관련하여 조선 시대의...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에 있는 습지. 하천 범람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전형적인 배후 습지성 호소(湖沼)에 해당한다. 명주실 한 타래를 풀어도 모자란 깊이라고 전해지지만, 지형의 성인상 깊은 수심을 갖기는 어렵다. 과거에 비해 규모가 상당히 축소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시기별 지형도나 항공 사진을 비교했을때, 면적의 축소가 일어났다고 보기 어렵다....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성당리 금동마을 동쪽에 있는 동굴. 금동마을 동쪽[북동쪽] 산에 위치한다고 하지만, 중축척, 소축척 지도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전국 자연환경 조사에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지형이다. 지역이나 마을 단위에서 인지되는 지형으로 침식 동굴일 가능성이 높다....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산안리에 있는 동굴. 금산군 군북면 산안리에 전해지는 전설이 있으나, 정확한 위치 정보 등을 찾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