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100 |
---|---|
한자 | 開德瀑布 |
영어공식명칭 | Gaedeokpokpo Waterfall |
이칭/별칭 | 서대폭포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성당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탁한명 |
전구간 | 개덕폭포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성당리 |
---|---|
해당 지역 소재지 | 개덕폭포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성당리
![]() |
성격 | 폭포 |
높이 | 20m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성당리 서대산 북서쪽 개덕사 경내에 있는 폭포.
[개설]
개덕사 경내에서 볼 수 있는 폭포는 ‘서대폭포[하]’로 표기되며, 해발 고도 320m 지점에 위치한다. 조금 더 상류인 해발 고도 415m 지점에 ‘개덕폭포’로 표기된 폭포가 하나 더 있다. 일반적으로 하류에 있는 폭포를 개덕폭포로 부른다.
[명칭 유래]
개덕사 경내에 위치하고 있어 개덕폭포, 서대산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어 서대폭포로도 불린다.
[자연환경]
서대산을 이루는 반상 흑운모 화강암과 불국사 화성암류의 석영 반암이 기반암을 이루고 있으며, 개덕폭포는 두 암석의 경계부에서 암석의 경연 차에 의해 형성된 폭포이다. 폭포의 기저부에는 노치 형태의 기저 굴식이 발생하고 있으며, 지름 10m가량의 폭포가 형성되어 있다. 높이는 20m이다.
[현황]
2015년 이루어진 전국 자연환경 조사 지형 분야에서 개덕폭포는 대표성, 희소성, 특이성 등 8개의 등급 평가 항목에서 모두 ‘상’으로 평가되어 절대 보전 지역[1등급]으로 지정되었다. 개덕사에서 폭포 주변에 조경을 가꾸어 놓았으나, 폭포의 자연미는 유지하고 있다. 폭포를 이루는 하천의 유역 면적이 작아서 평소에는 말라 있거나 유량이 적은 편이지만, 강우 이후에는 폭포의 위용을 감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