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072 |
---|---|
영어공식명칭 | Saetgogaegil Pass |
이칭/별칭 | 지량리고개길,샛고개굴길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탁한명 |
전구간 | 샛고개길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 |
---|---|
해당 지역 소재지 | 샛고개길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
![]() |
성격 | 고개 |
높이 | 약 135m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와 대전광역시 중구 안영동을 잇는 고개.
[개설]
버드내라 불리는 유등천의 상류 구간으로 샛고개길의 금산 구간은 대전 사람들의 유원지 역할을 하고 있다.
[명칭 유래]
샛고개길에 대한 유래는 찾기 힘들다. 샛고개는 지량리고개라고도 불리는데, ‘지량’은 이곳의 지형이 지렁이처럼 생겨 지랑이, 지량이라 불렀다고 한다. 명막산과 안산 사이의 협곡 구간을 곡류해 나가는 유등천의 모습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샛고개굴길은 지방도 제365호선의 터널이 개통됨으로써 붙여진 명칭으로 ‘굴길’은 터널을 우리말로 표현한 것이다.
[자연환경]
천비산에서 안산으로 이어지는 동쪽 산지와 안평산과 명막산으로 이어지는 서쪽 산지의 좁은 곡지를 유등천이 북류하여 통과하고 있다. 해발 고도 약 135m인 샛고개길은 중생대 백악기의 석영 반암과 시대 미상의 변성 섬록암질암이 기반암을 이루며 유등천 변에는 제4기 충적층이 퇴적되어 있다.
[현황]
대전과의 중요한 통로로 2차선이 샛고개를 통과하였으나, 2005년 지방도 제635호선이 샛고개길을 뚫어 통과함으로써 이용량이 급감하였다. 동쪽의 침산과 서쪽의 해철이산이 포함된 대전둘레산길 12구간이 샛고개를 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