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권력을 포함한 충청남도 금산군 지방 자치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며 행사하는 활동으로, 금산군민들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상호 간의 이해를 조정하며 사회 질서를 바로잡는 역할.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초대 금산군수는 자유민주연합 소속 김현근(金顯根)[1만 8027표, 49.16%], 제2대 금산군수는 무소속 김행기[8,851표, 27.30%], 제3대 금산군수는 무소속 김행...
-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공권력을 근거로 이루어지는 군정의 합리적인 형성과 집행 과정을 다루는 조직 및 합법적인 공공 행위. 금산군은 백제 때 진잉을군(進仍乙郡)이었고 신라 경덕왕의 지명 한화 정책 때 진례군(進禮郡)으로 개명하였다. 1895년(고종 32) 6월 23일 23부제로 개편되면서 진산군[현 진산면, 추부면, 복수면 일대]과 함께 공주부에 편입되었다. 이듬해 13도제로 개편되면...
-
충청남도 금산군을 포함한 선거구에서 투표를 통해 대통령, 국회 의원, 지방 자치 단체장, 지방 의회 의원 등을 선출하는 정치 행위. 금산군에서는 대통령 직접 선거 1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8회[민선 금산군수 8회], 충청남도 의원과 금산군 의원 선거 각 9회, 금산군 지역구 국회 의원 선거 21회를 실시하였다. 국회 의원 선거구는 1개의 선거구[논산시·계룡시·금산군 선거구]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금산군민의 의사를 기초로 금산군 행정 사무 처리 및 균형 발전을 스스로 결정하고 집행할 수 있게 만든 제도. 1952년 실시된 제1대 지방 의회 선거 이후 「지방자치법」이 개정되어 시·읍·면장을 직접 선거로 선출하게 되었고 1956년 8월 8일 제2대 지방 의원 및 단체장 선거가 실시되었다. 제2대 지방 의원 및 단체장 선거에서 면의회 의원 1만 5548명을 선...
공공 기관·시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에 있는 금산군의 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공공 행정 기관. 1914년 3월 1일 금산군과 진산군을 병합하여 금산군이라는 행정 구역상의 명칭이 사용되면서 10개 면이 되었다. 1940년 11월 1일 부령 제221호에 금산면이 금산읍으로 승격되어 1읍 9면이 되었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에 있는 금산군의 교통과 생활 안전 업무를 총괄하는 기구. 금산군스마트도시통합운영센터는 금산군의 교통 안전, 생활 안전[방범], 어린이 보호, 개인 정보 보호, 환경 미화, 산불 감시, 통합 관제 업무 등의 도시 정보를 스마트 통합 플랫폼 기반으로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충청남도 금산군청에 소속되어 1개 읍과 9개 면을 관리하고 말단 행정 및 복지 업무를 보며 금산군민에게 맞춤형 복지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금산군의 행정복지센터는 금산군 1개 읍과 9개 면에 설치되어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한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금산군 행정복지센터는 주민과 가장 가까이 있는 행정 기관으로 주민들의 불편 사항을 해결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에 있는 금산군정에 대한 의결 기관으로 헌법의 자치 규정에 따라 행해지는 금산군정의 분립 기관. 금산군의회는 「헌법」 제118조와 「지방자치법」 제30조 및 제31조의 규정에 의하여 금산군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 선거에 따라 선출된 의원으로 구성되어 금산군민의 의사를 대표하는 기관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에 있는 금산군 지방 선거와 국민 투표의 공정한 관리 및 정당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기 위한 헌법 기관. 선거 공영제를 담당하는 선거관리위원회는 헌법상 독립 기관으로서 공직 선거와 국민 투표를 공정하게 관리하고, 정당, 정치 자금에 관한 사무를 처리한다. 금산군선거관리위원회는 민주주의의 정치 발전과 깨끗한 선거 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한 공로를 인정받아 중...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신대리에 있는 금산군의 치안 유지 및 금산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국가 기관. 충청남도 금산군민을 위한 범죄 예방, 치안 유지와 생활 질서, 교통 안전, 기타 공공의 안녕과 질서 유지를 위한 치안 서비스 제공을 주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옥리에 있는 금산군을 관할하는 충청남도소방본부 산하 소방서. 금산군 관내의 화재를 예방하거나 경계하거나 진압하고 화재, 재난과 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 구조, 구급 활동을 통하여 금산군민의 생명, 신체와 재산을 보호한다. 소방 공무원, 소방차, 구급차 등 소방 장비가 집결한 관공서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에 있는 충청지방우정청 산하 우체국. 금산군민의 우편 물류, 전신, 체신 예금을 관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아인리에 있는 대전지방법원 산하 지방법원. 대전지방법원 금산군법원은 금산군민들의 생명을 존중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누구나 반드시 지켜야 할 행동 원칙이나 기준을 준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아인리에 있는 대전지방법원 산하 등기소. 대전지방법원 금산등기소는 금산군민 중 기업이나 소상공업자들이 많이 이용한다. 최근 전세 또는 임대 사기와 담보 대출 사기 등이 급증하고 있어서 금산군민들의 재산상의 피해를 예방하고 정당한 재산권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공공 기관이다. 이러한 행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금산군민의 입장에서는 접근성이 중요하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에 있는 대전세무서 산하 세무기관. 대전광역시 중구 선화동 188번지에 있는 대전세무소에서 대전광역시 동구·중구, 충청남도 금산군을 관할하고 있어서, 대전세무서 금산민원봉사실이 1996년 5월 1일부터 충청남도 금산군에 들어서게 되었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아인리에 있는 대전지방기상청 산하 기상 관측소. 금산기상관측소는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의 기상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인 대전지방기상청의 관리 책임 아래 운영되고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신대리에 있는 유기성 폐자원 처리 및 바이오가스 전력 생산 시설.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신대리 54-4번지에 있는 유기성폐자원에너지화시설은 한국환경공단과 금산군에서 총 사업비 225억 원을 투입하여 가축 분뇨, 음식물류 폐기물, 하수 슬러지 등 유기성 폐자원을 처리하고 생산되는 메탄[CH4], 이산화탄소[CO2] 등 바이오가스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완공한...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아인리에 있는 LX한국국토정보공사의 지사. 스마트 사회를 선도하는 금산군 정보 플랫폼 조성이라는 비전과 LX 디지털 트윈 서비스 모델 지속 개발, 디지털 지적 구축 완료, ESG 경영 수준 최고 등급 달성, 조직 건전성 최고 수준 달성이라는 전략 과제를 실천하기 위해 미래 혁신 경영을 하고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옥리에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대전중부지사 산하 출장소. 국민건강보험공단 대전중부지사 금산출장소는 금산군민의 건강에 대한 보험 급여 실시 및 노인을 위한 신체 활동 또는 가사 활동 지원 등 금산군의 보건 향상과 사회 보장 증진, 노후의 건강 증진과 생활 안정으로 금산군민의 삶의 질을 향상한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의총리에 있는 금산 칠백의총을 관리하는 국가유산청 산하 기관. 금산 칠백의총(錦山 七百義塚)은 임진왜란 때 왜군과 싸워 순절한 의병 700여 명의 유골을 안치한 곳이다. 의병장 중봉(重峯) 조헌(趙憲)[1544~1592], 의승장 영규(靈圭) 등 칠백의사가 금산 연곤평에서 1만 5000여 명의 왜적과 맞서 싸우다 모두 순절하자 조헌의 제자인 박정량, 전승업...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세종·대전·금산지사 산하 출장소.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어촌 정비 사업과 농업 기반 시설의 종합 관리, 환경친화적 농업 생산 기반 구축, 농업인의 영농 규모 적정화 촉진 등 농업 생산성을 증진하고 농업 소득 향상을 통해 농어촌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설립한 기구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아인리에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산하의 상수도 관리 기관. 금산군을 포함한 충청남도 금산권에 수자원을 공급하는 한국수자원공사의 금산권관리단으로 용담댐 관리도 담당한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아인리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대전세종충남본부의 금산 지사. 깨끗한 전기를 더 많이 만들어 금산군민들에게 충분하고 안전한 전기 공급과 환경 보존을 위한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