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907
한자 有機性廢資源-化施設
영어공식명칭 Organic Waste-to-Energy Facility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지명/시설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신대리 54-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공삼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2022년 11월 8일연표보기 - 유기성폐자원에너지화시설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3년 7월 3일 - 유기성폐자원에너지화시설 준공으로 금산군 제21회 대한민국 환경문화대상 지방자치행정부분 환경대상 수상
최초 설립지 유기성폐자원에너지화시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신대리 54-4
현 소재지 유기성폐자원에너지화시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신대리 54-4 지도보기
성격 전력 생산 시설
설립자 금산군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신대리에 있는 유기성 폐자원 처리 및 바이오가스 전력 생산 시설.

[개설]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신대리 54-4번지에 있는 유기성폐자원에너지화시설은 한국환경공단과 금산군에서 총 사업비 225억 원을 투입하여 가축 분뇨, 음식물류 폐기물, 하수 슬러지 등 유기성 폐자원을 처리하고 생산되는 메탄[CH4], 이산화탄소[CO2] 등 바이오가스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완공한 시설이다.

[설립 목적]

폐기물에 의한 환경 오염 부하를 감축하고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여 온실가스 배출 절감을 통한 지구 온난화 방지와 유기성 폐기물의 안정적 처리를 통해 환경 오염 방지를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2014년 한국환경공단[발주처]과 금산군[시행처]이 유기성폐자원에너지화시설 사업 건설 계약을 체결하였다. 2019년 충청남도로부터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설치를 승인받았고 환경시설관리, 서진산업, 아라건설 등을 시공사로 선정하였다. 2020년 3월 착공하였으며 총 사업비 225억 2800만 원을 투입하였다. 부지 면적은 9707㎡, 건축 면적은 1907㎡ 규모이다. 2022년 11월 8일 준공식을 하였다. 금산군은 유기성폐자원에너지화시설 준공으로 농가와 주민 상생을 실현하고 에너지 절감을 통한 탄소 중립을 이룬 점을 인정받아 2023년 7월 3일 제21회 대한민국 환경문화대상 지방자치행정부분 환경대상을 받았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가축 분뇨, 음식물류 폐기물, 하수 슬러지 등 유기성 폐자원을 처리하고 바이오가스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한다.

[현황]

금산군 유기성폐자원에너지화시설은 전처리 시설, 폐수 처리 시설, 음식물 저장 호퍼, 비중 선별기, 파쇄 선별기, 협잡물 종합 처리기, 악취 제거 설비, 혐기성 소화조, 건식 탈황 설비, 가스 저장소, 가스 발전기 등의 주요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시설은 중온 혐기성 소화[소화 가스화] 처리 방식을 통해 일일 가축 분뇨 65톤, 음식물 쓰레기 15톤, 하수 슬러지 10톤 등 총 90톤의 유기성 폐자원의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페자원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 이산화탄소, 미량 성분들의 혼합 가스인 바이오가스를 전력 및 열 생산, 취사용 연료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2013년부터 시행된 육상 폐기물 해양 배출 금지와 가축 분뇨 공공 처리 반입 대상 기준이 3,000두에서 5,000두로 변경됨에 따라 가축 분뇨 수거 대상 및 처리량이 증가하였다. 금산군 내에서 발생하는 가축 분료 적정 처리와 더불어 위탁으로 처리되던 음식물류 폐기물 및 하수 슬러지의 병합 처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한국환경공단과 금산군은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유기성 폐자원의 안정적인 처리와 에너지 자원화를 통해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유기성폐자원에너지화시설을 설치하게 되었다. 위탁 처리를 하던 음식물 쓰레기의 자체 처리에 따라 연간 6억 원의 예산 절감과 바이오가스를 통해 생산된 전기를 직접 사용함으로써 연간 1억 2000만 원의 시설 운영비 절감 효과가 기대되고 온실 가스 감축에 기여하였다. 금산군은 유기성폐자원에너지화시설을 인근의 공공 하수 처리 시설 및 하수 처리 재이용 시설과 함께, 2024년 준공 예정인 4만 1000㎡ 규모 인공 습지 등과 연계해 물 관리 종합 환경 타운으로 통합 운영할 계획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