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금산군에 묘소가 있는 고려 후기 무신이자 의병. 정인조와 관련한 20세기 이전의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1917년에 세워진 신도비, 그리고 1920년대에 집중적으로 간행되었고 1950년대까지도 개정과 증보가 이루어진 『조선환여승람(朝鮮環輿勝覽)』에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활동하였던 정인조의 행적이 등장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고려 후기 무신으로 대장군까지 지냈다고 하나...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조선 전기 문신이자 의병장. 고경명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에서 의병을 모아 북상하였고, 왜군이 금산을 점령하고 전주를 공격할 것이라는 정보를 확인하고, 의병을 이끌고 금산의 왜군을 공격하다가 순절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순절한 의병. 고려 말 조선 초의 대표적인 성리학자인 야은 길재의 5대손이다....
임진왜란 당시 금산 전투에 참여한 승려이자 의병장. 영규는 밀양 박씨로 호는 기허(騎虛)이다. 충청남도 공주 출신으로 처음에는 계룡산에 있는 갑사에 들어가 출가하고, 이후에는 휴정의 문하에서 불법을 깨우쳤다. 공주에 있는 청련암에서 선장을 가지고 무예 익히는 것을 즐겨 했다고 전한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순절한 의병장. 유팽로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에서 의병을 일으켰고, 담양에 있던 고경명의 의병과 합세하여 활약하였다. 금산의 왜군이 전주를 공격할 것이란 정보를 듣고 고경명의 부대와 함께 금산의 왜군을 공격하다가 순절하였다....
1592년 발발한 임진왜란 당시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조선 전기 문신이자 의병장. 선조 연간 활동한 문신이자, 임진왜란 중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