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지
-
조선 시대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 대한 정보를 모아 편찬한 서적. 금산 지역에 대한 조선 시대 행정구역은 금산군과 진산군이 있었다. 금산군과 진산군의 읍지는 다양한 곳에 수록되어 있다. 전국의 정보를 모은 지리지의 경우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여지도서』, 『대동지지』 등이 있고, 금산 지역이 속했던 호남 지역의 읍지로는 『호남읍지(1871)』, 『...
-
조선 후기 정조 대에 편찬된 충청남도 금산군의 읍지. 『금산군읍지』는 18세기 후반 정조 대에 편찬된 금산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구역 등에 대한 지방 읍지이다....
-
1899년 편찬된 충청남도 금산군의 읍지. 『전라북도각군읍지』는 1899년(광무 3) 대한제국에서 전국의 읍지를 올려보내라는 읍지상송령에 따라서 작성된 전라북도 각 군의 읍지를 모아 엮은 것이다. 전라북도 26개 군의 읍지가 한 책으로 엮여 있다. 당시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에 속해 있던 금산군 관련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
조선 후기 정조 대에 편찬된 충청남도 금산 지역의 읍지 『진산군읍지』는 정조 연간 전라도 진산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구역 등에 대하여 설명한 지방 읍지이다. 진산군은 현재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에 설치되었던 조선 시대 행정 지명이다....
문집
-
1364년 충청남도 금산에서 처음으로 간행된 고려 후기 학자 이곡의 시문집. 고려 후기 학자 이곡(李穀)의 시가와 산문을 엮은 시문집으로, 초간본은 아들 이색(李穡)이 편집하고, 사위 박상충(朴尙衷)이 금산에서 간행하였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칠백의총관리소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안눌의 문집. 『금계록』은 조선 후기 문신 이안눌의 문집인 『동악집』 중 권10에 해당된다. 『동악집』은 권1부터 권24까지는 모두 시를 수록하였으며 총 4,159수이다. 권25는 부편, 권26은 잡저 등으로 되어 있다. 2021년 금산문화원에서 『금계록』을 쉽게 풀이해 2권으로 발간하였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칠백의총관리소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전기 문신이자 의병장 조헌을 방문한 선비들이 남긴 방명록. 『심원록』은 보은현감에서 물러나 옥천에 세거하고 있던 조선 전기 문신이자 의병장 중봉 조헌을 방문했던 선비들의 명단을 기록한 책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칠백의총관리소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전기 문신이자 의병장인 고경명 부자의 실기. 『정기록』은 조선 전기 문인이자 의병장인 고경명과 첫째 아들 고종후, 둘째 아들 고인후가 임진왜란 당시 사실을 기록한 책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칠백의총관리소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전기 문인 고경명의 시문집. 16세기 후반 문인 고경명의 시와 산문을 엮어 고경명의 아들 고용후가 1617년에 편집 간행한 문집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칠백의총관리소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의병장 조헌의 문집. 『중봉전집』은 16세기 후반 문인이자 의병장인 조헌의 문집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칠백의총관리소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전기 문인이자 의병장 조헌의 글을 안방준이 모아 엮은 문집. 『항의신편』은 17세기 전반 문인 안방준이 의병장 조헌의 글과 행적을 모아 엮은 문집이다. 안방준(安邦俊)[1573~1654]의 본관은 죽산이고 호는 은봉, 우산, 빙호이다. 부친은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안중관이며, 처는 판관을 지낸 정승복의 딸이다. 임진왜란 이...
고지도
-
1872년 전국적으로 제작된 군현지도 중 금산군 지도. 『1872년 군현지도』는 흥선대원군 집권 시기 국가 차원에서 추진된 전국 군현지도집이다. 흥선대원군은 중앙집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정치적 기반을 마련하고 각 군현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전국 단위의 읍지를 제작하였고, 그 후속사업으로 지도집을 만들었다. 각 군현의 통치 정보를 수합하기 위하여 대형 지도집 제작을 기획하게 되었다...
-
1872년 전국적으로 제작된 군현지도 중 진산군 지도. 『1872년 군현지도』는 흥선대원군 집권 시기 국가 차원에서 추진된 전국 군현지도집이다. 흥선대원군은 중앙집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정치적 기반을 마련하고 각 군현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전국 단위의 읍지를 제작하였고, 그 후속사업으로 지도집을 만들었다. 각 군현의 통치 정보를 수합하기 위하여 대형 지도집 제작을 기획하게 되었다...
-
1750년대 초반 제작된 『해동지도』에 수록된 충청남도 금산군 지도. 『해동지도』는 국가 차원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1750년대 초반 제작된 관찬 군현지도집이다. 『해동지도』는 새롭게 그려진 것이라기 보다는 이전에 비변사에서 제작되었던 지도를 참고하여 제작한 것으로 생각된다. 충청도와 평안도의 지도에서 비변사에 소장된 지도를 참고하여 수정했다는 쪽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1750년대 초반 제작된 『해동지도』에 수록된 진산군 지도. 『해동지도』는 국가 차원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제작된 관찬 군현지도집이다. 『해동지도』는 새롭게 그려진 것이라기 보다는 이전에 비변사에서 제작되었던 지도를 참고하여 제작한 것으로 생각된다. 충청도와 평안도의 지도에서 비변사에 소장된 지도를 참고하여 수정했다는 쪽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조선 후기 호남 지역에 있었던 각 역에 대한 정보를 담은 『호남역지』에 수록된 제원역의 지도. 조선 후기 호남 지역에 있었던 각 역에 대한 정보를 수록한 책인 『호남역지(湖南驛誌)』에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었던 제원역(濟原驛)의 모습을 그린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
1871년 편찬된 『호남읍지』에 수록된 금산군의 지도. 1871년 편찬된 『호남읍지』는 10책으로 만들어졌으며, 『금산군읍지』의 「금산군지도」는 4책에 수록되어 있다....
-
1871년 편찬된 『호남읍지』에 수록된 진산군의 지도. 1871년 편찬된 『호남읍지』4책에 수록된 진산군의 지도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불경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금산역사문화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전기 불경. 『금강반야바라밀경』은 조계종의 근본 경전이다.서명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이지만 실제 내용은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라 알려진 책이다....
문서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칠백의총관리소에서 소장하고 있는 임진왜란 의병장 고경명이 남긴 격문. 「마상격문」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경명이 의병을 모아 출전하기 위하여 여러 곳에 자신의 생각을 기록한 문서이다....
서화류
-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거주한 고려 후기 학자 야은 길재의 영정. 「야은 길재 영정(冶隱 吉再 影幀)」은 본래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불이리 청풍서원에 보관되어 있었으나 2000년 3월 길재(吉再)[1353~1419]의 영정과 친필 문집을 포함한 문화재 36점을 도난당하였다. 4년 뒤에 영정 3점은 회수되었으나 영정 1점과 서책 등 33점은 미회수된 상태이다. 회수된 영정 3점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