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494 |
---|---|
한자 | 1872年 郡縣地圖 錦山郡 |
이칭/별칭 | 1872년 지방지도 금산군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박범 |
[정의]
1872년 전국적으로 제작된 군현지도 중 금산군 지도.
[제작 발급 경위]
『1872년 군현지도』는 흥선대원군 집권 시기 국가 차원에서 추진된 전국 군현지도집이다. 흥선대원군은 중앙집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정치적 기반을 마련하고 각 군현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전국 단위의 읍지를 제작하였고, 그 후속사업으로 지도집을 만들었다. 각 군현의 통치 정보를 수합하기 위하여 대형 지도집 제작을 기획하게 되었다.
[형태]
『1872년 군현지도』 「금산군」 은 군현 단위로 만들어진 회화식 지도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동헌과 내아를 중심으로 읍치 내에는 장청, 형리청, 통인청, 서청, 군사, 이청, 사령청, 병청, 사창이 자리하고 있다. 객사를 하천을 사이에 두고 건너편에 자리했다. 그 사이에 장시가 위치하고 있다. 행정구역은 면과 리를 모두 기재하였다. 면명은 타원형으로, 리명은 원형으로 표기하였으며 같은 면 소속의 리를 모두 동일한 색깔로 표기하여 면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산과 하천의 지세에 따라 표기되어 있으며 붉은 선으로 도로를 표기했다. 도로의 경우 굵기가 달라서 굵은 선은 대로(大路), 얇은 선은 소로(小路)를 나타냈다. 이외에 각 지역에 소재한 사창, 장시, 사찰 등을 표기하였다.
[의의와 평가]
중앙에서 주도한 군현지도의 편찬사업으로 1872년 당시 금산군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사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