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금산문화대전 > 금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방식(생활·민속) > 민속 > 가신신앙
-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집안 각각의 장소에 존재하는 신들을 믿는 신앙. 가신신앙(家神信仰)은 가정신앙, 가택신앙이라고도 한다. 가신(家神)은 말 그대로 집안에 존재하는 신이다. 가신의 중심 신들은 성주, 터주, 조왕이다. 이 외에 집안의 각 처소인 곳간, 헛간, 문, 측간, 우물 등에 개개 신들이 위치한다고 보았다. 사람들은 이들 신들이 해당 장소나 공간에 머물면서 그 가정의 길운...
-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아기를 점지해 주고 성장에 관여한다고 믿는 신.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는 아기를 점지해 주고 아기의 성장에 관여하는 신으로 알려져 있는 삼신을 삼신할머니라고 부른다. 또 산모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가정의 성인 여성들이 지성으로 삼신을 위하였다. 삼신을 위할 때는 바가지나 자루에 곡식을 담아 놓는데, 곡식의 종류는 좁쌀이나 쌀이다. 삼신...
-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가정의 수호나 평안에 관여한다고 믿는 신. 성주는 달리 성조(成造)라고도 한다. 이 성조란 용어는 ‘집을 짓는’ 직능을 바탕으로 한다. 곧 집을 짓는 것에 관여하는 신이란 의미에 근거하겨 성주를 건물의 신 또는 집을 지키는 신이라고 한다....
-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집안에 모신 여러 신들에게 가정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굿. 안택굿은 말 그대로 집안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행하는 굿이다. 굿에서의 치성 대상은 집안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되는 가신(家神)이다. 구체적으로 조왕, 터주, 성주와 같은 중심 가신을 대상으로 굿을 한다. 곧 이들의 위력을 칭송하는 한편, 그 같은 초월 능력으로 해당 가정의 평안과 번영을 이루어...
-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가정의 재물운수나 집을 지켜준다고 믿는 신. 가정신으로의 업은 금산 지역에 널러 전승되고 있는 가신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가신은 성주, 터주, 조왕 등이 주목받고 있으나 업신 또한 나름의 존재감을 갖고 신앙된다. 이 지역 사람들은 업신이 재물운을 가져다 준다거나 집안을 지켜주는 지킴이신으로 이해한다....
-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가정의 부엌과 불을 관장한다고 믿는 신. 조왕(竈王)은 해당 가정의 부엌에 머무르는 신이다. 조왕을 다른 말로 조왕신, 조왕할매, 조왕대감, 부뚜막신, 부엌신이라거나 ‘불의 신’이란 뜻으로 화신(火神)이라고도 한다. 부엌은 음식이 조리되는 공간이자 온기를 공급하는 장소로 중요시된다. 사람살이 일상에서 음식과 온기는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와 같이 절대 필요한 요...
-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사람의 수명과 복을 관장한다고 믿는 신. 칠성(七星)은 하늘의 일곱 별로 칠원성군(七元星君)에서 유래하였다. 이들 일곱 별은 인간 제반사를 나누어 맡아 다스렸다고 한다. 도교를 바탕으로 한 일곱 별의 군주가 사람의 길흉화복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관념이 확산되면서 칠성이 자연스럽게 가신(家神)으로 들어앉았다. 특히 자녀의 건강과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집터를 관장한다고 믿는 신. 터주는 집터를 관할하는 신이라 하여 대지(垈地)의 신으로 인식된다. 지신(地神)이라고도 하는데, 금산 지역에서는 터줏대감으로 불린다. 울타리를 기준으로 그 내부에 존재하는 신들을 가신(家神)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가신으로 조왕, 터주, 성주, 칠성, 조상, 삼신 등이 있다. 이들 가신 가운데 터주는 성주와 더불어 주목받는 가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