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금산문화대전 > 금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틀(정치∙경제∙사회) > 경제·산업
-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의 생산·소비·분배와 관련되는 활동 전반과 그 영역. 2020년 기준 금산군에 8,909개의 사업체가 있고 종사자 수는 3만 1688명이다. 충청남도 전체에서 금산군이 차지하는 비중은 사업체 수 기준 3.5%, 종사자 수 기준 3.0%이다. 1차 산업[농업, 임업 및 어업]에 89개 사업체가 있고 278명이 종사하며, 2차 산업[...
-
충청남도 금산군 농업의 구조와 현황. 농업은 기본적으로 토지 또는 전답을 경작하는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 농업은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어 작물 재배업, 축산업, 작물 재배 및 축산 복합 농업, 작물 재배 및 축산 관련 서비스업과 수렵 및 수렵 관련 서비스업이 포함된다....
-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산림의 유지 및 조성과 임목 보육을 통해 생산물을 얻는 경제 활동. 광복 직후 우리나라 산림은 일제의 전쟁 물자 수탈에 따른 후유증과 6·25전쟁 등으로 극심하게 황폐해진 상황이었다. 우리나라 정부는 산림 자원을 정책적으로 보존하고 임업 행정을 바로잡고자 1951년 9월 21일 산림 관계 법률인 「산림보호임시조치법」[법률 제218호]을 제정하여 공포하였다. 19...
-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의 산업 중에서 각종 원료를 가공하여 제품을 만드는 업종. 제조업은 음식료품, 섬유나 의복, 목제품, 종이 제품, 플라스틱 제품, 기계와 장비 등을 만드는 산업으로, 보통 경공업, 중공업, 첨단 제조업 등으로 구분된다. 과거에 굴뚝이 있는 공장에서 주로 생산 활동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굴뚝 산업이라고도 지칭되었으며, 산업 분류에서는 2차 산업이다. 우리나라는 19...
-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가축을 사육하고 가축의 생산물을 가공하는 산업. 축산업은 농업의 한 부문으로서 가축을 길러 젖, 고기, 달걀, 모피 등 인간 생활에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고 이용을 꾀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정부 수립 때까지 무분별한 가축 도살로 발전에 큰 장애를 겪었다. 하지만 1950년대에 들어오며 「가축전염병검역규칙」[농림부령 제22호, 1951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