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798
한자 農業
영어공식명칭 Agriculture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성효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농업의 구조와 현황.

[개설]

농업은 기본적으로 토지 또는 전답을 경작하는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 농업은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어 작물 재배업, 축산업, 작물 재배 및 축산 복합 농업, 작물 재배 및 축산 관련 서비스업과 수렵 및 수렵 관련 서비스업이 포함된다.

[농가 수와 농가 인구]

2021년 기준 금산군의 농가 수는 6,393가구이고 농가 인구는 1만 3902명이다. 이 중 3,648가구가 전업 농가이고 2,745가구가 겸업 농가이다. 농가 인구의 48.0%는 남성이다. 금산군의 이러한 농가 규모는 2013년과 비교하여 상당한 감소를 보인다. 2013년 기준 금산군의 농가 수는 7,559가구이었고 농가 인구는 1만 8224명이었다. 이러한 감소는 우리나라 전체적인 인구 감소 추세와 지방 소멸의 위기감 고조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농가 인구[2020년 기준]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0~14세 705명, 15~19세 333명, 20~29세 537명, 30~39세 584명, 40~49세 939명, 50~59세 2,237명, 60~64세 1,927명, 65~69세 1,751명, 70세 이상 4,170명이다. 2010년과 비교하여, 모든 연령대에서 농가 인구가 감소하였으며 전 연령대에 걸쳐 6,005명이 감소하였다. 연령대별로는 50~59세의 농가 인구가 1,389명으로 가장 큰 폭의 감소를 보였다.

[경지 면적과 작물별 생산량]

충청남도 금산군의 경지 면적[2021년 기준]은 6,789㏊로 이 가운데 논이 1,591㏊[23.4%]이다. 가구당 면적은 106.2㏊이며, 논이 24.9㏊, 밭이 81.3㏊로 조사된다.

경지 규모별 농가 수를 살펴보면, 경지가 없는 농가는 15가구에 불과하고 나머지 5,986가구는 경지를 소유하고 있다. 경지 규모별로는 0.1㏊ 미만 56가구, 0.1㏊ 이상 0.5㏊ 미만 3,473가구, 0.5㏊ 이상 1.0㏊ 미만 1,409가구, 1.0㏊ 이상 1.5㏊ 미만 428가구, 1.5㏊ 이상 2.0㏊ 미만 220가구, 2.0㏊ 이상 3.0㏊ 미만 179가구, 3.0㏊ 이상 5.0㏊ 미만 144가구, 5.0㏊ 이상 10.0㏊ 미만 62가구, 10.0㏊ 이상 15가구이다.

식량 작물 생산량은 정곡[milled crops]의 경우, 1,688.3㏊의 경작 면적에서 1만 121.0톤이 생산되며 이 가운데 미곡[rice]이 상당 부분[1,560.0㏊의 경작 면적에서 9,132.4톤이 생산]을 차지한다. 그다음으로 생산량이 많은 작물은 서류[potato]로 68.1㏊의 경작 면적에서 886.4톤이 생산된다. 식량 작물 전체적으로 2016년에 경작 면적 2,014.0㏊에서 9,898.5톤이 생산되었음을 고려할 때, 금산군 농업의 토지 생산성이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미곡 생산 역시 2016년 1,719.0㏊의 면적에서 8,698.1톤이 생산되었음을 고려할 때, 토지의 생산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참깨, 들깨, 땅콩 등의 특용 작물 생산량은 185.9톤으로 70.2㏊의 면적에서 재배된다.

[의의]

농촌 지역의 저출산 및 고령화로 인해 농업의 기반이 취약해지고 있으며, 금산군 역시 이러한 추세를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첨단 제조업이나 사업 서비스업 등에서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기 때문에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 경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높을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2000년대에 들어 농업·농촌의 대외 여건은 크게 변화하였다. 이를테면, DDA 협상 진행, FTA 확대, 국가 간 경제의 블록화 등 전 세계적으로 개방의 확대 및 경쟁의 심화로 국내 농업의 어려움이 가중되어 농산물의 가격 하락, 농가 소득의 감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더불어 도시와 농촌 간 소득 격차 확대로 농가 인구는 지속해서 감소하고, 농촌인구의 고령화는 이제는 거스를 수 없는 추세이다. 결국 충청남도 금산군은 농업의 선진화, 6차 산업화, 고부가 가치화 등을 이루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