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계속하여 살고 있는 성씨. 우리나라에서 성씨가 발생한 근원은 고대 중국의 성씨 제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고조선 시대부터 시작된 것이다. 초기에는 왕족을 중심으로 일반 백성과 차별성을 드러내기 위한 상징적인 호칭이 성(姓)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범위가 확대되어 귀족들도 성을 사용하게 되었다.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甲午改革)을 계...
성씨
-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거명을 중시조로 하며, 이서·이시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경주 이씨(慶州 李氏) 금산군 입향조는 이서(李曙)[1570~1616]와 이시(李時) 형제이다. 이서는 효심이 지극하여 아버지가 병들었을 때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마시도록 하였고, 상을 당해서는 묘막을 짓고 정성을 다하여 시묘살이를 하였다. 이서의 큰아들 이유택(李惟澤)은...
-
지백호를 시조로 하고, 정진후를 중시조로 하며, 정재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경주 정씨(慶州 鄭氏) 금산군 입향조는 정재(鄭齋)이다. 고산현감으로 부임한 정재가 금산에 있는 아버지의 묘를 보살피기 위하여 금산군 추부면 추정리로 이거하면서 후손들이 세거하였다고 한다....
-
한교를 시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금계 한씨(錦溪韓氏)[금산 한씨]의 시조는 한교(韓曒)[1337~1401]이다. 한교는 청주 한씨(淸州韓氏) 시조(始祖) 한란(韓蘭)의 15세손으로, 금산군수 심고(沈暠)의 데릴사위가 되어 개경에 가서 공부하여 문과에 급제한 후 벼슬이 보문각직제학에 올랐다. 특히 한교는 효행(孝行)이 남달랐는데, 이런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희종(...
-
김신을 시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금산 김씨(錦山 金氏)의 시조는 고려 시대 요양성 참정을 역임한 김신(金侁)[?~1274]이다. 김신은 금주군으로 봉해지고 장원으로 하사받은 금산에 귀향하여 살았으며, 후손들이 김신을 시조로 삼고 창본하였다. 금산군 남일면 일원에 금산 김씨 집성촌이 있다....
-
김수로왕을 시조로 하고, 김희운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김해 김씨(金海 金氏) 금산군 입향조는 김희운(金希運)[1546~1625]이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김희운이 난을 피해 지금의 금산군 군북면 지역으로 입향한 이후 후손들이 세거하였다. 김희운의 후손인 김학술(金學述)[1863~1920]은 자가 학도(學度)이고 호는 천효재(天孝齋)로 부모를 섬김에 항상 지...
-
양을나를 시조로 하고, 양우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남원 양씨(南原 梁氏) 금산군 입향조는 양우(梁佑)이다. 양우는 임진왜란 때 왜적을 토벌하는 공을 세워 호조좌랑에 증직된 양제(梁濟)[1550~1593]의 할아버지이다. 양제는 금산의 사족인 해평 길씨(海平吉氏) 길수온(吉守溫)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창의사 김천일(金千鎰), 최경회(崔慶會...
-
윤양비를 시조로 하고, 윤택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무송 윤씨(茂松 尹氏) 금산군 입향조는 윤택(尹澤)[1289~1370]이다. 시조 윤양비(尹良庇)의 손자인 윤수평이 금산 김씨(錦山 金氏) 진례군 부인과 혼인하여 금주(錦州)[지금의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에 터전을 마련하였는데, 이후 증손인 윤택이 내려와 거주하면서 후손들이 세거하였다고 전한다. 초현리에 무...
-
박혁거세를 원조로 하고, 박언침을 시조로 하며, 박수정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밀양 박씨(密陽 朴氏) 금산군 입향조는 박수정(朴守正)이다. 박수정은 임진왜란 때 조헌(趙憲)의 의병으로 종군한 퇴우당(退憂堂) 박사현(朴嗣賢)의 아들로, 아버지의 위폐가 봉안된 종용사(從容祠)가 있는 금산으로 이주하면서 금산군 입향조가 되었다. 금산군 부리면 배정이[梨亭]마을에...
-
박응주를 시조로 하고, 박린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반남 박씨(潘南 朴氏) 금산군 입향조는 박힐(朴詰)의 증손자로 진산군수를 지낸 박린(朴麟)[1414~1458]이다. 금산군 남일면 마장리에 반남 박씨 집성촌이 있다....
-
이총언을 시조로 하고, 이인보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벽진 이씨(碧珍 李氏) 금산군 입향조는 이인보(李仁保)이다. 이인보가 금산으로 이거한 후 벽진 이씨에서 금산 이씨로 분적하였다가 다시 벽진 이씨로 환적하였다고 한다. 금산군 금성면 파초리에 벽진 이씨 집성촌이 있고, 금성면 두곡리에 이인보의 사당이 있다....
-
김수를 시조로 하고, 김자정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상산 김씨(商山 金氏) 금산군 입향조는 노은(老隱) 김자정(金自精)[1630~1693]이다. 김자정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새로운 주거지를 찾아 금산군 제원면 용화리로 입향한 후 후손들이 세거한 것으로 보인다. 용화리에 상산 김씨 집성촌이 있다....
-
설호진을 시조로 하고, 설숙기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순창 설씨(淳昌 薛氏) 금산군 입향조는 설계조(薛繼祖)[1418~1486]의 고손자인 설숙기(薛叔基)이다. 설숙기가 충청북도 옥천에서 처향인 의성 정씨(義城 丁氏)의 집성촌인 지금의 금산군 군북면 내부리로 이주한 이후 후손들이 세거한 것으로 보인다. 설계조의 묘는 원래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에 있었...
-
권행을 시조로 하고, 권극인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안동 권씨(安東 權氏) 금산군 입향조는 조선 후기 문신인 권혁의 현손 권극인(權克仁)[1791~1868]이다. 권혁이 청풍에 있던 아버지 권상유(權尙遊)와 맏형인 권소(權熽)의 묘소를 금산군 금성면 두곡리로 이장하였고, 이후 권극인이 세거하면서 이곳이 안동 권씨 집성촌이 되었다....
-
신경을 시조로 하고, 신경운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영산 신씨(靈山 辛氏) 금산군 입향조는 고려 후기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신천(辛蕆)[1264~1339]의 11세손인 신경운(辛慶芸)이다. 신천은 호가 덕재(德齋)이고, 시호는 문헌(文憲)인데,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인 안향(安珦)의 문인으로 1294년(충렬왕 20) 과거에 급제하여 지공거, 판밀직사사 등을...
-
전유를 시조로 하고, 전지영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옥천 전씨(沃川 全氏) 금산군 입향조는 전지영(全摯穎)[1499~1579]이다. 전지영이 연산군(燕山君)의 폭정을 피해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에 은거한 후 후손들이 세거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요광리에 옥천 전씨 집성촌이 있다....
-
이흥서를 시조로 하고, 이만립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온양 이씨(溫陽李氏) 금산군 입향조는 시조 이흥서(李興瑞)의 3세손인 이만립(李萬立)[1606~1684]이다. 이만립은 노년에 산수가 좋은 곳을 찾아 지금의 금산군 금성면 하신리로 이거하였다고 한다. 하신리에 온양 이씨 집성촌이 있다....
-
정덕성을 도시조로 하고, 정영손을 중시조로 하며, 정현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의성 정씨(義城 丁氏)의 도시조는 당(唐)나라 말기 대승상을 지낸 정덕성(丁德盛)이다. 신라 땅인 압해도[현 전라남도 신안군]에 유배되었다가 정착하여 의성 정씨의 도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이후 의성 정씨는 나주 정씨(羅州丁氏)·영광 정씨(靈光丁氏)·창원 정씨(昌原丁氏)로 분관되었는...
-
김천석을 시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진산 김씨(珍山 金氏)의 시조는 1464년(세조 10)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전라감사를 역임한 김천석(金天錫)[1404~?]이다. 김천석의 사후에 후손들이 김천석을 시조로 삼고 진산(珍山)을 본관으로 하여 세거하였다. 금산군 제원면에 진산 김씨 집성촌이 있다....
-
전섭을 도시조로 하고, 전락을 중시조로 하며, 전충노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천안 전씨(天安 田氏) 금산군 입향조는 전충노(全忠老)로, 순창 설씨(淳昌 薛氏)와 혼인한 후 처향인 지금의 금산군 군북면 산안리로 이거하였다고 한다. 금산군 금성면 대암리에 천안 전씨의 선산이 있는데, 이곳에는 입향조 전충노의 묘소 등이 있다. 금산군의 군북면 내부리와 남일면 신동...
-
조춘을 시조로 하고, 조여림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평양 조씨(平壤 趙氏) 금산군 입향조는 조여림(趙汝霖)이다.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 ‘금산군’ 조에 효자 조득란을 소개하는 대목이 있는데 “그는 평양 사람으로, 훈신 여충(汝忠)의 손자이고, 참의 견벽(堅壁)의 아들이다. 유계(俞棨)의 문인인데, 성품이 단아하고 경적(經傳)을 깊이 연구하며 성리학을...
-
윤존부를 시조로 하고, 윤경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해남 윤씨(海南 尹氏) 금산군 입향조는 공재 윤두서(尹斗緖)[1668~1715]의 손자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가톨릭 순교자인 윤지충(尹持忠)[1759~1791]의 아버지인 윤경(尹憬)이다. 윤경의 아들 윤지충, 윤지헌과 처조카인 권상연은 한국 최초의 가톨릭 순교자이다....
-
오인유와 오현보를 시조로 하고, 오유종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금산군의 해주 오씨(海州 吳氏) 입향조는 오유종(吳有終)[1443~1500]이다. 오유종은 1466년(세조 12) 생원시에 합격하여 여러 벼슬을 역임한 후 전라도관찰사를 지냈고,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진산에 부처된 후 후손들이 이곳에서 세거하기 시작하였다....
-
길당을 시조로 하고, 길시우를 중시조로 하며, 길재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해평 길씨(海平 吉氏) 금산군 입향조는 야은(冶隱) 길재(吉再)[1353~1419]이다. 길재는 아버지 길원진(吉元進)이 금주(錦州)를 다스릴 때 따라왔다가, 중량장을 역임한 신면(申勉)의 데릴사위가 되어 신면의 전장이 있는 금산[현 금산군 부리면]에 정주하면서 후손들이 대대로 세거하...
-
곽경을 시조로 하고, 곽사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현풍 곽씨(玄風 郭氏) 금산군 입향조는 조선 전기 문신인 곽사(郭師)이다. 곽사는 세조(世祖)의 왕위 찬탈에 울분을 참지 못하여 아들 곽득창(郭得昌)과 함께 지금의 금산군 제원면 대산리로 내려왔고, 이후 후손들이 이곳에서 집성촌을 세거하였다.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 등에 현풍 곽씨 집성촌이 있다....
세거지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추정리에 있는 경주 정씨의 세거지. 추정리는 경주 정씨(慶州 鄭氏) 세거지이다. 경주 정씨 금산군 입향조는 정재(鄭齋)로, 고산현감으로 부임하면서 아버지의 묘를 지키기 위해 추정리로 이거한 이후 후손들이 세거하였다. 정인조(鄭仁祚)를 배향하는 사당인 충렬사(忠烈祠)가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파초리에 있는 벽진 이씨의 세거지. 파초리는 벽진 이씨(碧珍 李氏) 금산군 입향조 이인보(李仁保)의 27세손인 이희현(李希賢)과 이희철(李希哲)이 이주한 이후 집성촌이 만들어졌다. 현재 벽진 이씨 28가구가 정도가 사는데, 이 중에는 39세손도 있다. 이희현의 처 백천 조씨와 이희철의 처 개성 김씨의 정려가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하신리에 있는 온양 이씨의 세거지. 하신리는 온양 이씨(溫陽 李氏) 금산군 입향조인 이만립이 노년에 지금의 충청북도 옥천군 지역에서 이거한 후 후손들이 거주하여 세거지가 되었다. 하신리에는 입향조 이만립의 묘소와 순종(純宗)에게 받은 ‘온양이씨계효지비(溫陽李氏繼孝之碑)’라는 여덟 자의 어필(御筆)을 새긴 어필각이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에 있는 해주 오씨의 세거지. 해주 오씨(海州 吳氏)는 오인유(吳仁裕)를 시조로 모시는 경파(京派)와 오현보(吳賢輔)를 시조로 모시는 향파(鄕派)의 두 계통이 있으며, 금산군 입향조는 행정(杏亭) 오유종(吳有終)[1443~150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