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573 |
---|---|
한자 | 天安 田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동재 |
입향지 | 천안 전씨 입향지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산안리
![]() |
---|---|
세거|집성지 | 천안 전씨 집성지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내부리
![]() ![]() |
묘소|세장지 | 천안 전씨 세장지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대암리
![]() |
성씨 시조 | 전섭(全聶) |
입향 시조 | 전충노(全忠老) |
[정의]
전섭을 도시조로 하고, 전락을 중시조로 하며, 전충노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개설]
천안 전씨(天安 田氏) 금산군 입향조는 전충노(全忠老)로, 순창 설씨(淳昌 薛氏)와 혼인한 후 처향인 지금의 금산군 군북면 산안리로 이거하였다고 한다. 금산군 금성면 대암리에 천안 전씨의 선산이 있는데, 이곳에는 입향조 전충노의 묘소 등이 있다. 금산군의 군북면 내부리와 남일면 신동리 등에 천안 전씨 집성촌이 있다.
[연원]
천안 전씨 도시조 전섭(全聶)은 고구려 동명왕(東明王)의 셋째 아들 온조(溫祚)가 백제를 개국할 때 공을 세워 환성군(歡城君)에 봉하여졌으며, 전섭의 16세손인 전락(全樂)은 대구 팔공산 전투에서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을 위기에서 구하고 신숭겸(申崇謙)과 함께 순절하였다. 이에 삼사 좌복야(三司 左僕射)에 추증되고 천안부원군(天安府院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전락을 중시조로 모시고 천안(天安)을 본관으로 하였다.
천안 전씨는 후대로 내려오면서 판결사공파, 대제학공파, 삼재공파, 두평군파, 문효공파로 갈라져서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전낙은 전이갑(全以甲)·전의갑(全義甲) 형제와 더불어 고려에서 ‘삼충공(三忠公)’으로 칭해지며 크게 우대받았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에 도시조인 전섭과 삼충공을 향사하는 제단이 있다.
[입향 경위]
천안 전씨 금산군 입향조 전충노는 담양군수를 지낸 전순생(全順生)의 첫째 아들로, 순창 설씨와 혼인하면서 처향인 금산군 군북면 산안리로 이거하였다고 한다.
[현황]
2015년 통계청에서 발간한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성씨·본관 편에 따르면, 금산군에 살고 있는 천안 전씨는 739명이다. 금산군의 군북면 내부리와 남일면 신동리 등에 천안 전씨 집성촌이 있다. 금산군 금성면 대암리에는 천안 전씨의 선산이 있는데, 이곳에 입향조 전충노의 묘소와 셋째 아들 전이손(全利孫)[?~1653]의 묘소, 7세손으로 통정대부를 지낸 전명달(全命達)[1602~1678]의 묘소 등이 있다.
[관련 유적]
금산군 군북면 내부리에 전재례 정려각이 있다. 전재례(全在禮)[1706~1729]는 어려서부터 효심이 깊어서, 11세에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으며, 홀로 된 어머니를 효성으로 모셨지만 병이 깊어 결국 돌아가시자 시묘살이를 하다가 영양 부족으로 병에 걸려 죽고 말았다. 이러한 사실을 암행어사 홍택(洪澤)이 보고하여 임금이 정려(旌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