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591 |
---|---|
한자 | 溫陽 李氏 世居地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하신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범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하신리에 있는 온양 이씨의 세거지.
[개설]
하신리는 온양 이씨(溫陽 李氏) 금산군 입향조인 이만립이 노년에 지금의 충청북도 옥천군 지역에서 이거한 후 후손들이 거주하여 세거지가 되었다. 하신리에는 입향조 이만립의 묘소와 순종(純宗)에게 받은 ‘온양이씨계효지비(溫陽李氏繼孝之碑)’라는 여덟 자의 어필(御筆)을 새긴 어필각이 있다.
[형성 및 변천]
온양 이씨 금산군 입향조는 시조 이흥서(李興瑞)의 3세손인 이만립(李萬立)[1606~1684]이다. 온양 이씨의 족보에 따르면, 지금의 충청북도 옥천군 지역에서 살았던 이만립이 노년에 산수가 좋은 곳을 찾다가 금산 신곡[현 금성면 하신리]으로 이거하게 되었고, 그 이후 후손들이 집성촌을 이루었다고 한다.
[자연환경]
온양 이씨 세거지가 있는 하신리의 북쪽과 동쪽은 금산군의 추부면 추정리와 금성면 대암리, 남쪽과 서쪽은 금성면 마수리, 추부면 용지리와 접한다. 금성산에서 뻗어 내린 두 개의 산줄기에서 발원하는 하신천과 대암천이 합류하는 자리에서 마치는 산줄기 사이에 하신리가 자리하고 있다.
[현황]
2015년 통계청에서 발간한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성씨·본관 편에 따르면, 온양 이씨는 전국에 3,002명이 있으며, 금산군에는 208명이 살고 있다. 입향조 이만립의 묘소가 신곡 대장산[현 하신리 대장골]에 있다.
[관련 유적]
이만립의 후손 중에는 효자가 많아서 ‘5세 3효(五世 三孝)’ 집안이라는 칭송을 들었다. 이들 중 이태귀(李泰貴)는 숙종(肅宗) 때 인물로 어머니의 병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입에 흘려 넣어 네 번이나 살아나게 할 정도로 효성이 지극하였다고 전한다. 또한 이태귀의 증손자인 이흥엽(李興爗)과 고손자인 이원배(李元培)도 효성이 지극하였기에 1924년 금산 지방 유림들이 온양 이씨 이태귀와 이흥엽, 이원배의 효행을 표창해 줄 것을 청하는 천장(薦狀)을 올렸고, 이에 1925년 3월 순종이 친히 ‘온양이씨계효지비(溫陽李氏繼孝之碑)’라는 여덟 자의 어필을 하사하였다. 이에 이원배가 어필비를 세우는 한편 비각을 봉건하였는데, 이것이 지금 하신리에 있는 온양이씨어필각(溫陽李氏御筆閣)[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