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조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88
한자 平壤 趙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동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세거|집성지 평양 조씨 세거지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 지도보기
성씨 시조 조춘(趙椿)
입향 시조 조여림(趙汝霖)

[정의]

조춘을 시조로 하고, 조여림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개설]

평양 조씨(平壤 趙氏) 금산군 입향조는 조여림(趙汝霖)이다.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 ‘금산군’ 조에 효자 조득란을 소개하는 대목이 있는데 “그는 평양 사람으로, 훈신 여충(汝忠)의 손자이고, 참의 견벽(堅壁)의 아들이다. 유계(俞棨)의 문인인데, 성품이 단아하고 경적(經傳)을 깊이 연구하며 성리학을 강명하였다. 부모를 효성껏 섬기고 겸손하게 예절을 지켰으므로, 효자로 정려를 명했다. 『삼강록(三綱錄)』에도 나온다.”라고 하였다. 하지만 『평양조씨대동보(平壤趙氏大同譜)』에 따르면, 조득란은 조여림의 큰손자이다. 조득란의 아버지는 조견벽(趙見壁)이고, 할아버지가 조여림이다. 훈신 조여충은 절충장군 조구(趙球)의 아들인데, 조구의 동생이 조여림의 아버지인 조경이다. 조여충은 완주군 고산면 출신으로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권율(權慄)의 부하로 들어가 이치 전투(梨峙 戰鬪)에서 큰 전공을 세우고 주부(主簿)의 벼슬을 받고 행주산성 싸움에서 장렬히 전사하였다.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에 평양 조씨 집성촌이 있다.

[연원]

평양 조씨의 시조 조춘(趙椿)은 고려 때 금(金)나라를 정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송나라 상장군이 되었다고 한다. 평양 조씨 가문의 기반을 다진 인물은 조춘의 5세손인 조인규(趙仁規)로, 몽골어 통역관으로 최고위 관직에 오르면서부터이다. 조인규는 딸이 충숙왕(忠肅王)의 비가 되자 평양부원군에 봉하여졌다. 이에 후손들이 조춘을 시조로 삼고 평양(平壤)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조인규의 증손자 조준(趙浚)이 조선 건국에 참여하며 명문가로서의 위상을 세웠다.

[입향 경위]

전라병마절도사를 역임한 조을정(趙乙鼎)의 증손자인 조여림이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고산면 서봉리에서 처향인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로 이주하면서 평양 조씨 금산군 입향조가 되었다.

[현황]

2015년 통계청에서 발간한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성씨·본관 편에 따르면, 금산군에 살고 있는 평양 조씨는 65명이다.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에 평양 조씨 집성촌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