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송 윤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67
한자 茂松 尹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입향조 생년 시기/일시 1289년 - 윤택 출생
입향조 몰년 시기/일시 1370년 - 윤택 사망
입향지 무송 윤씨 입향지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무송 윤씨 집성지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
묘소|세장지 무송 윤씨 세장지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성곡리 지도보기
성씨 시조 윤양비(尹良庇)
입향 시조 윤택(尹澤)

[정의]

윤양비를 시조로 하고, 윤택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개설]

무송 윤씨(茂松 尹氏) 금산군 입향조는 윤택(尹澤)[1289~1370]이다. 시조 윤양비(尹良庇)의 손자인 윤수평이 금산 김씨(錦山 金氏) 진례군 부인과 혼인하여 금주(錦州)[지금의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에 터전을 마련하였는데, 이후 증손인 윤택이 내려와 거주하면서 후손들이 세거하였다고 전한다. 초현리에 무송 윤씨 집성촌이 있다.

[연원]

무송 윤씨의 시조는 고려 시대에 보승낭장(保勝郞將)으로 호장(戶長)을 지낸 윤양비이다. 금산군 입향조 윤택은 정당문학(政堂文學)과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냈고, 윤택의 손자 윤소종(尹紹宗)은 조선 시대에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회군공신(回軍功臣) 3등에 책록되었다.

[입향 경위]

시조 윤양비의 아들로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을 지낸 윤해(尹諧)의 장남 윤수평이 금산 김씨 진례군 부인과 혼인하여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에 터전을 마련하였으며, 증손인 율정(栗亭) 윤택금산군 남일면 초현리로 이거하며 무송 윤씨 금산군 입향조가 되었다. 윤택의 아들 윤구생(尹龜生)[1318~?]은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를 그만두고 낙향하여 금산군 일대에 성리학을 전파하며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현황]

2015년 통계청에서 발간한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성씨·본관 편에 따르면, 금산군에 살고 있는 무송 윤씨는 7명이다.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금산군 남이면 성곡리에 무송 윤씨 집성촌이 있었으나 조선 전기에 세거가 중단되었다. 남이면 성곡리에 무송 윤씨 묘역이 있다.

[관련 유적]

윤구생 효자비가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