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 신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84
한자 靈山 辛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입향조 생년 시기/일시 1326년연표보기 - 신경운 출생
본관 영산 신씨 본관 -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입향지 영산 신씨 입향지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대산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영산 신씨 집성지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 지도보기|제원면 수당리지도보기
성씨 시조 신경(辛鏡)
입향 시조 신경운(辛慶芸)

[정의]

신경을 시조로 하고, 신경운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세거 성씨.

[개설]

영산 신씨(靈山 辛氏) 금산군 입향조는 고려 후기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신천(辛蕆)[1264~1339]의 11세손인 신경운(辛慶芸)이다. 신천은 호가 덕재(德齋)이고, 시호는 문헌(文憲)인데,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인 안향(安珦)의 문인으로 1294년(충렬왕 20) 과거에 급제하여 지공거, 판밀직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금산군 제원면 대산리영산 신씨 문중의 사당이 있으며, 금산군의 남일면 초현리제원면 수당리 등에 집성촌이 있다.

[연원]

영산 신씨의 시조는 1145년(인종 23) 문과에 급제하고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오른 신경(辛鏡)[?~?]으로 호는 엄곡(嚴谷), 시호(諡號)는 정흠(貞歆)이다. 후손들이 신경이 처음 정착한 영산(靈山), 곧 지금의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영산 신씨의 본관은 영산과 영월(寧越)의 2본이며, 양쪽이 같은 연원의 분파로서 영산 신씨가 큰 집이다. 신씨의 세계는 신경의 8세손에서 분파하는데,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신천을 파조로 하는 덕재공파(德齋公派), 좌찬성을 지내고 영산 부원군에 봉해진 신혁(辛革)을 파조로 하는 초당공파(草堂公派), 중정대부 신성렬(辛成烈)을 파조로 하는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로 갈라졌고, 영월 부원군에 봉해진 신온(辛蘊)을 파조로 하는 부원군파(府院君派)와 이부판서(吏部判書)를 지낸 신한을 파조로 하는 판서공파(判書公派)의 후손들은 영월로 분관하여 세계를 이어 왔다.

[입향 경위]

신경운이 지금의 금산군 제원면 대산리에 정착하면서 영산 신씨 금산군 입향조가 되었다. 신경운은 1326년(충숙왕 13)에 태어났고, 충혜왕(忠惠王) 연간에 문과 장원에 급제하여 판사제사에 이르렀으며, 조선 건국 후 통정대부 공조참의에 증직되었다.

[현황]

2015년 통계청에서 발간한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성씨·본관 편에 따르면, 금산군에 거주하는 영산 신씨는 493명이다. 금산군 남일면 초현리에 영산 신씨 집성촌이 있다.

[관련 유적]

금산군 제원면 대산리영산 신씨 문중 사당인 대산사(大山祠)[금산군 향토유적 제14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