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795 |
---|---|
한자 | 製造業 |
영어공식명칭 | Manufacturing Industry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홍성효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의 산업 중에서 각종 원료를 가공하여 제품을 만드는 업종.
[개설]
제조업은 음식료품, 섬유나 의복, 목제품, 종이 제품, 플라스틱 제품, 기계와 장비 등을 만드는 산업으로, 보통 경공업, 중공업, 첨단 제조업 등으로 구분된다. 과거에 굴뚝이 있는 공장에서 주로 생산 활동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굴뚝 산업이라고도 지칭되었으며, 산업 분류에서는 2차 산업이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식료품과 옷감을 만드는 공업이 발달하였고 1970년대에서 1980년대에는 기계, 조선, 자동차 등을 생산하는 제조업이 발달하였으며, 이후에는 반도체 생산 등에서 국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현황]
2020년 기준 금산군에 있는 제조업에 속하는 사업체[종사자 수 기준 10인 이상 사업체]는 198개이며, 종사하는 근로자는 8,309명이고 급여의 총액은 3850억 5400만 원이다. 출하액은 2조 7400억 1500만 원, 생산액은 2조 7560억 6200만 원이다. 주요 생산비는 1조 5297억 300만 원으로 부가 가치는 1조 2263억 5900만 원이고 연말 기준 유형 자산[건설 중인 자산 제외]은 1조 1378억 8100만 원이다.
중분류별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에서 상대적으로 큰 산업들은 식료품 제조업[43개 사업체와 1,572명 종사자],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30개 사업체와 3,692명 종사자], 화학 물질 및 화학 제품[의학품 제외] 제조업[21개 사업체와 553명 종사자], 금속 가공 제품[기계 및 가구 제외] 제조업[20개 사업체와 392명 종사자], 펄프·종이 및 종이 제품 제조업[13개 사업체와 393명 종사자],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7개 사업체와 287명 종사자], 전기 장비 제조업[8개 사업체와 271명 종사자] 등의 순으로 분포한다.
노동 생산성을 종사자 1인당 부가가치로 정의하는 경우에 금산군의 중분류 제조업 가운데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2억 200만 원], 비금속 광물 제품 제조업[1억 9400만 원],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1억 4100만 원], 음료 제조업과 1차 금속 제조업[1억 3800만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2021년 기준 충청남도 금산군 내 산업 단지는 금산지방공단과 복수농공단지, 금성농공단지, 추부농공단지, 인삼약초특화단지가 있으며, 총면적은 162만㎡이다. 입주 업체 수는 83개이며 이 가운데 76개 업체가 가동 중으로 92%의 가동률을 나타낸다. 입주 업체에 고용된 종사자 수는 4,265명이고, 생산액은 1조 2003억 원, 수출액은 7억 5395만 9000달러로, 비록 국가 산업 단지와 일반 산업 단지가 없음에도 금산군 지역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다만 수출액은 2016년 11억 3300만 3000달러에서 거의 매년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입주 업체들의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다소 약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의의]
금산군 제조업에는 일부 대기업이 있으며, 금산군 지역 내 고용 창출에 크게 이바지한다. 하지만 종사자들은 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보다 나은 주택과 정주 여건을 위해 인접한 대도시인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생산 활동에 종사하나 가족을 포함하여 대전에서 거주 및 소비 활동을 하기 때문에 지역 소득의 역외 유출과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금산군은 이들이 지역 내에서 거주 및 소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주택과 정주 여건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 내 대기업이나 중견 기업에 중간재나 원자재를 납품하는 거래 기업들이 금산군에 입지할 수 있도록 기업 경영 환경의 개선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그리고 지역 내 제조업체들이 단순한 가공이나 조립과 같은 단순 생산 중심의 공장들만을 자리 잡게 하기보다는 고부가 가치의 첨단 산업이 지역 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사업 서비스업의 육성이나 고급 전문 인력의 지역 내 거주 유인책 마련을 위한 노력도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