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2년 군현지도』 「진산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495
한자 1872年 郡縣地圖 珍山郡
이칭/별칭 1872년 군현지도 진산군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872년연표보기 - 『1872년 군현지도』「진산군」 제작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지도

[정의]

1872년 전국적으로 제작된 군현지도 중 진산군 지도.

[제작 발급 경위]

『1872년 군현지도』는 흥선대원군 집권 시기 국가 차원에서 추진된 전국 군현지도집이다. 흥선대원군은 중앙집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정치적 기반을 마련하고 각 군현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전국 단위의 읍지를 제작하였고, 그 후속사업으로 지도집을 만들었다. 각 군현의 통치 정보를 수합하기 위하여 대형 지도집 제작을 기획하게 되었다.

[형태]

『1872년 군현지도』는 군현 단위로 만들어진 회화식 지도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읍치는 동헌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객사, 오른쪽에서는 아사가 위치하고 있다. 그 아래에는 장청, 향사당, 군사, 작청, 읍창 등이 있었고, 형옥(刑獄) 부근에는 장시가 자리하였다. 읍치 우측에 향교가 있었고, 좌측에는 군기고 건물이 확인된다. 행정구역은 면과 리가 모두 표기되어 있다. 면은 직사각형으로, 리는 원형으로 표기했는데, 같은 면의 경우 모두 동일한 색깔로 구분하여 면의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산과 하천의 지세가 지도 전체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태조의 태실과 비각, 중봉 조헌의 사우, 우암 송시열의 필적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중앙에서 주도한 군현지도의 편찬사업으로 1872년 당시 진산군[현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사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