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485
한자 稼亭集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박기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361년연표보기 - 『가정집』 편찬
간행 시기/일시 1364년 - 『가정집』 간행
성격 문집
저자 이곡
편자 이색
간행자 박상충
권책 20권 4책

[정의]

1364년 충청남도 금산에서 처음으로 간행된 고려 후기 학자 이곡의 시문집.

[개설]

고려 후기 학자 이곡(李穀)의 시가와 산문을 엮은 시문집으로, 초간본은 아들 이색(李穡)이 편집하고, 사위 박상충(朴尙衷)이 금산에서 간행하였다.

[저자]

이곡은 1298년(충렬왕 24)에 태어나 1317년(충숙왕 4) 거자과에 합격한 뒤 관직에 올랐다. 1332년(충숙왕 복위 1)에는 원나라의 과거에 급제하여 고려와 원나라에서 모두 관직생활을 한 인물이다. 이곡은 생애 대부분을 관료로 보내 대부분 경세적이거나 문학적인 글을 저술로 남겼다.

[편찬/간행 경위]

『가정집』이 처음으로 발간된 것은 이곡이 죽은 지 13년이 지난 1364년(공민왕 13) 이색이 아버지의 유고를 모아 20권으로 편집하고, 매부였던 금산군수 박상충에게 부탁하여 금산에서 인쇄하여 『가정집』을 출간하였다. 이후 1422년(세종 4), 1635년(인조 13), 1662년(현종 3) 총 네 번에 걸쳐 간행되었다. 이 가운데 첫번째와 두번째 간행된 판본은 소실되었고 세번째, 네번째 판본이 현존하고 있다.

[형태/서지]

20권 4책으로 목판본으로 되어 있다.

[구성/내용]

권1은 잡저, 권2~5은 기(記), 권5는 기(記)·비(碑), 권7은 설·제(題)·발·명·찬(贊), 권8은 서(書)·계(啓)·서(序), 권9는 서(序), 권10은 서(序)·표(表)·전(箋)·소어(疏語)·청사(靑詞), 권11은 제문·묘지명, 권12는 묘지명·행장, 권13은 정문(呈文), 권14는 고시, 권15~20에는 율시(律詩)가 실려 있는데, 그 중 권15에는 영사(詠史), 권18에는 연경기행, 권20 속에는 사(詞)가 들어 있다. 부록으로 권말에 가정의 연보와 가정잡록(稼亭雜錄)이 들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곡의 발길이 지나갔던 절승명지뿐만 아니라 이름없는 고장의 역, 객사에서 풍경 및 회고, 여정 그리고 시사적인 것까지 노래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