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읍지』 「진산군지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490
한자 湖南邑誌 珍山郡地圖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호남읍지』「진산군지도」 제작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지도

[정의]

1871년 편찬된 『호남읍지』에 수록된 진산군의 지도.

[개설]

1871년 편찬된 『호남읍지』4책에 수록된 진산군의 지도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1871년(고종 8) 정부에서 전국에 읍지상송령을 내려서 군현별로 제작된 읍지를 정부에 보내도록 하였다. 이때 전라도 진산군[현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에서 「진산군읍지」와 더불어 지도를 함께 제작하여 제출하였고, 『호남읍지』에 수록되었다.

[형태]

『호남읍지』 「진산군지도」 는 「진산군읍지」의 서두에 2쪽 분량으로 그려져 있다. 도로, 하천, 산 등에 대해서는 채색으로 그려져 있다.

[구성/내용]

『호남읍지』 「진산군지도」 는 매우 단순하게 그려져 있다. 하천과 산, 도로가 지도 구성의 중심 축을 구성하고 있다. 읍치는 지도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으나 읍치의 공공 시설인 관아, 향청, 군사, 객사, 사창 등의 명칭이 보이며 특이하게 옥(獄)을 기록하였다. 산의 경우 명칭이 확인되지만, 하천은 명칭을 기재하지 않았다. 읍치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연결된 도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로의 끝에는 연결되는 군현의 명칭을 기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호남읍지』 「진산군지도」 는 하천과 산, 도로의 지형이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어 당시 진산군의 지형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