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24
한자 金剛般若波羅蜜經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기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537년연표보기 - 『금강반야바라밀경』 목판 간행
소장처 금산역사문화박물관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금산로 1575[중도리 203-28]지도보기
간행처 신안사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신안사로 970[신안리 54]지도보기
성격 불경
편자 함허당 득통
규격 19㎝×12.5㎝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금산역사문화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전기 불경.

[개설]

『금강반야바라밀경』은 조계종의 근본 경전이다.서명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이지만 실제 내용은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라 알려진 책이다.

[편찬/간행 경위]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에 있는 신안사에서 목판본으로 1537년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목판본으로 1책으로 되어있다. 판면에 계선은 없고, 반곽의 크기는 19㎝×12.5㎝이다. 지질은 발문이 보이는 얇게 뜬 저지로 보아 고려 후기로부터 조선 초기 불교 전적에서 많이 사용한 종이이다.

[구성/내용]

조선 전기의 승려 함허당 득통(得通)[1376-1433]이 『금강경』에 대한 다섯 선사의 풀이를 모아서 편찬한 책이다.

[의의와 평가]

1537년 신안사에서 제작된 것으로 번각본 중 시기가 빠르고 비교적 전래가 드물어 그 가치가 높다. 1999년 6월 9일 신안사에 도둑이 들어 유물을 훔쳐갔는데 그 와중에 남아있던 1537년에 제작한 『금강반야바라밀경』 상권과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인쇄하는데 사용했던 목판 6점을 금산역사문화박물관에 위탁 보관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