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486 |
---|---|
한자 | 邑誌 |
영어공식명칭 | A Comprehensive Information Publications about a County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범 |
[정의]
조선 시대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 대한 정보를 모아 편찬한 서적.
[개설]
금산 지역에 대한 조선 시대 행정구역은 금산군과 진산군이 있었다. 금산군과 진산군의 읍지는 다양한 곳에 수록되어 있다. 전국의 정보를 모은 지리지의 경우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여지도서』, 『대동지지』 등이 있고, 금산 지역이 속했던 호남 지역의 읍지로는 『호남읍지(1871)』, 『호남읍지(1895)』가 있는데, 그 중 금산군과 진산군의 편에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금산 지역을 다룬 개별 지리지로는 정조 연간에 편찬된 『금산군읍지』와 『진산군읍지』가 있다. 15세기에 작성된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연혁, 진산, 호수, 토성, 토지결수, 토의, 토공 등이 기재되어 있다. 16세기에 작성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건치연혁, 관원, 군명, 성씨, 풍속, 형승, 산천, 토산, 성곽, 누정 등을 기재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우 『세종실록지리지』와는 다르게 인문지리적인 내용이 다수 기술되어 있다. 17세기에 작성된 『동국여지지』에는 경계, 건치연혁, 군명, 형승, 풍속, 산천, 토산, 성곽, 공서, 학교, 궁실, 우역, 사묘, 능묘, 사찰, 고적, 명환, 인물 등을 기재하고 있어서 이전의 지리지와는 다르게 공공 건물에 대한 기록과 지역의 대표 인물이 다수 수록되었다.
18세기 작성된 『여지도서』부터 행정과 경제 및 재정과 관련된 정보가 많이 수록되어 통치를 위한 기초 자료로 많이 활용되었다. 『여지도서』의 항목을 보면 면리, 도로, 건치연혁, 군명, 관직, 산천, 단묘, 공해, 제언, 창고, 교량, 누정, 사찰, 고적, 인물, 원장부결수, 조적, 전세, 대동, 균역, 군병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금산군의 경우 제원역지가 별도로 첨부되어 있다. 또한 『여지도서』에서부터 고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금산군의 읍지]
정조 연간 편찬된 『금산군읍지』와 『진산군읍지』는 정조의 읍지 상송령(上送令)에 따라 작성된 읍지이다. 내용을 보면 건치연혁, 군명, 관직, 방리, 도로, 성지, 산천, 성씨, 풍속, 학교, 서원, 단묘, 총묘, 공해, 관액, 제언, 장시, 교량, 역원, 사찰, 누정, 형승, 물산, 진공, 월령, 상납, 호구, 전총, 전세, 대동, 균세, 봉름, 요역, 창고, 조적, 군기, 군액, 노비, 선생안, 인물, 고적 등과 같이 매우 상세하게 변하였다. 『호남읍지(1871)』는 고종의 상송령에 따라서 편찬된 전국적인 규모의 지리지이다. 내용을 보면 방리, 건치연혁, 군명, 관직, 산천, 단묘, 공해, 제언, 창고, 교량, 누정, 사찰, 고적, 인물, 원장부, 조적, 전세, 대동, 균역, 군병을 수록하였다. 시기별 읍지 내용의 변화를 통해서 금산군과 진산군의 지역 사회 변화 과정을 추적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