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조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609
한자 鄭仁祚
영어공식명칭 Jeong Injo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황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추모 시기/일시 1979년 - 정인조 충렬사 배향
묘소|단소 정인조 신도비·묘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자부리 남산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충렬사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추정리 334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경주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 묘소가 있는 고려 후기 무신이자 의병.

[개설]

정인조와 관련한 20세기 이전의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1917년에 세워진 신도비, 그리고 1920년대에 집중적으로 간행되었고 1950년대까지도 개정과 증보가 이루어진 『조선환여승람(朝鮮環輿勝覽)』에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활동하였던 정인조의 행적이 등장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고려 후기 무신으로 대장군까지 지냈다고 하나 명확하지 않다.

[가계]

본관은 경주이고 정종철(鄭宗哲)의 아들이다. 둘째 아들 정재(鄭齋)가 고산현감으로 부임하면서부터 금산에 세거하기 시작하였다.

[활동 사항]

1402년 왜구의 침입에 대응하여 의병을 일으켰으며 전투에서 사망하였다고 전해진다. 『조선환여승람』에는 정인조가 왜구와 싸우다가 승리를 거두고 물을 마시다가 순절한 곳이 금산의 관전천(官田川)이라 명시되어 있으며, 정인조가 장현산(長峴山) 아래에 거주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묘소]

묘소는 신도비와 함께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자부리 남산에 위치한다. 묘소에는 본래 있던 무인석, 망주석과 더불어 1991년에 새로 만든 문인석, 석등, 묘표석, 묘비 등이 세워져 있다. 아울러 1917년에 만들어진 구 신도비와 1991년 만들어진 신 신도비가 나란히 있다.

[상훈과 추모]

1979년 금산군의 지원으로 ‘충렬사’라는 사당을 건립하여 배향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