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626
한자 高敬命
영어공식명칭 Go GyeongMyeong
이칭/별칭 제봉(霽峰),태헌(苔軒),충렬공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33년 11월 30일연표보기 - 고경명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52년 - 고경명 사마시에서 진사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58년 - 고경명 식년 문과 장원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81년 - 고경명 영암군수 임명
몰년 시기/일시 1592년 7월 10일연표보기 - 고경명 사망
성격 문신|의병장
성별
본관 장흥
대표 관직 동래부사

[정의]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조선 전기 문신이자 의병장.

[개설]

고경명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에서 의병을 모아 북상하였고, 왜군이 금산을 점령하고 전주를 공격할 것이라는 정보를 확인하고, 의병을 이끌고 금산의 왜군을 공격하다가 순절하였다.

[가계]

본관은 장흥(長興)이고 호는 제봉(霽峰)태헌(苔軒)이다. 조부는 형조좌랑을 지낸 고운(高雲), 부친은 대사간을 지낸 고맹영(高孟英)이다. 모친은 진사였던 서걸(徐傑)의 딸이다.

[활동 사항]

1552년 진사에 합격하였고, 1558년 성균관 알성시에서 수석을 차지해 곧바로 전시에 응시할 수 있는 기회를 받았고, 식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이후 성균관전적, 공조좌랑, 형조좌랑, 사간원정언 등의 관직을 거쳤다. 휴가를 얻어 독서에 전념할 수 있는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기도 하였다. 이후 사간원, 사헌부, 홍문관의 중요 관직을 두루 거쳤으나 이조판서 이량의 전횡을 논하는 자리에 참석하고 그 사실을 이량에게 몰래 알려주다가 좌천되기도 하였다. 이후 영암군수에 제수되었다가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임진왜란 직전 동래부사가 되었으나 서인이 실각하면서 파직되어 고향으로 돌아왔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도망친 관군을 모아 고종후, 고인후로 하여금 인솔하여 수원에서 왜군과 항전하고 있던 광주목사에게 인계하도록 하였다. 전나주부사 김천일, 전정언 박광옥과 함께 합심하여 의병을 일으켰고, 담양에서 6천여 명의 의병을 모을 수 있었다. 당시 전라좌도 의병대장에 추대되었고, 유팽로, 안영, 양대박 등이 고경명의 진영에서 함께 참여하였다. 전라도 의병군을 편성하고 담양에서부터 북상하였다. 은진에 도착하여 일본군의 진로를 확인한 뒤에 영동 지역에 있던 일본군이 금산을 점령하고 전주로 들어온다는 정보를 확인하였다. 전라도 방어를 위해 북상 계획을 바꾸고 금산 방향으로 진군하였다. 충청도 의병장이었던 조헌에게 편지를 보내 금산의 일본군을 함께 공격하기로 제의하였다. 일본군의 본진을 공격하였으나 일본군의 저항과 관군의 소극적인 태도로 퇴각하였다. 결국 밀려오는 일본군에 대항하다가 아들 고인후, 유팽로, 안영 등과 함께 금산에서 순절하였다.

[학문과 저술]

평소에 글씨와 시, 그림에 능하였다고 한다. 울산군수에서 파직된 이후 고향으로 돌아와 산수를 유람하면서 작성한 『유서석록(遊瑞石錄)』이 있고, 임진왜란 당시 각처에 보낸 격문을 모은 『정기록』이 있다. 그리고 아들 고용후가 고경명의 글을 모아 편찬한 문집인 『제봉집』이 있다.

[묘소]

일본군의 퇴각을 기다린 뒤에 유체를 수렴하여 금산의 산중에 매장하였으며, 화순에서 장사를 지내고 장성으로 이장하였다. 금산의 칠백의총에서 금산 전투 전사자들과 함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상훈과 추모]

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1642년(인조 20) 충렬(忠烈)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광주의 포충사, 금산의 성곡서원종용사, 순창의 화산서원 등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