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627
한자 柳彭老
영어공식명칭 Yu Paengro
이칭/별칭 형숙(亨叔),군수(君壽),월파(月坡)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54년연표보기 - 유팽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79년 - 유팽로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88년 - 유팽로 식년 문과 급제
몰년 시기/일시 1592년연표보기 - 유팽로 사망
성격 의병장
성별
본관 문화

[정의]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순절한 의병장.

[개설]

유팽로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에서 의병을 일으켰고, 담양에 있던 고경명의 의병과 합세하여 활약하였다. 금산의 왜군이 전주를 공격할 것이란 정보를 듣고 고경명의 부대와 함께 금산의 왜군을 공격하다가 순절하였다.

[가계]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형숙(亨叔)·군수(君壽)이며, 호는 월파(月坡)이다. 개국공신 유만수(柳曼殊)의 후손으로, 부친은 유경안(柳景顔)이다.

[활동 사항]

1579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588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벼슬길에 나가는 데에는 뜻을 두지 않았고 옥과현에서 살았다고 한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 지역의 양대박, 안영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600여 명을 이끌고 담양에 있던 고경명의 의병과 합세하였고, 당시 고경명이 전라도 의병대장으로 추대되었기 때문에 고경명의 휘하에서 종사관이 되었다. 유팽로도 학식이 높았기 때문에 고경명과 함께 격문을 지어 돌렸다. 유팽로의 격문은 『정기록(正氣錄)』에 실려 있다. 전라도 의병이 일본군을 막고자 북상하는 가운데 금산을 통해 전주로 들어온다는 소식을 듣고 북상을 멈추고 금산으로 진군하였다. 고경명 의병은 수적 열세로 금산 전투에서 싸웠다. 유팽로는 전투에 앞서서 수적 열세를 만회하기 위하여 험지에 요새를 구축하여 적의 공격을 기다리기를 제안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고경명을 구출하는 과정 속에서 전사하였다.

[학문과 저술]

유팽로는 진사에 합격하고 문과에 급제할 만큼 학문적 소양이 높았다. 저술로는 『정기록(正氣錄)』에 수록된 격문이 있으며, 1647년에 간행된 유팽로의 시가와 산문을 엮은 시문집인 『월파집(月坡集)』을 들 수 있다. 『월파집』은 3권 1책으로 시, 문, 소, 세계, 설, 서, 잡저, 일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일기는 임종 직전까지 작성한 것으로 임진왜란 초기 의병의 활약상을 알 수 있다.

[묘소]

유팽로금산 전투에서 전사하였기 때문에 칠백의사와 더불어 칠백의총에 모셔져 있다.

[상훈과 추모]

유팽로를 모시고 있는 대표적인 사당으로는 광주의 포충사(褒忠祠)와 금산의 종용사(從容祠)를 들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