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770
한자 行政
영어공식명칭 Administration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은숙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공권력을 근거로 이루어지는 군정의 합리적인 형성과 집행 과정을 다루는 조직 및 합법적인 공공 행위.

[개설]

금산군은 백제 때 진잉을군(進仍乙郡)이었고 신라 경덕왕의 지명 한화 정책 때 진례군(進禮郡)으로 개명하였다. 1895년(고종 32) 6월 23일 23부제로 개편되면서 진산군[현 진산면, 추부면, 복수면 일대]과 함께 공주부에 편입되었다. 이듬해 13도제로 개편되면서 1896년(고종 33) 8월 4일 칙령 제36호에 따라 전라북도에 편입되었다. 1914년 3월 1일부로 진산군이 금산군에 통합되었다. 전라북도에 속해 있던 금산군이 충청남도로 편입된 것은 1963년이다. 박정희 군사 정권에서 최고회의 법사위원이던 길재호의 영향력으로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도, 군, 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법률 제1172호]에 의한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금산군이 다시 충청남도로 편입되었다.

[금산군의 행정 조직]

2023년 6월 현재 금산군청의 행정 조직은 본청, 직속 기관, 사업소, 의회, 읍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산군 본청에는 군수, 부군수, 기획예산담당관, 세계화담당관, 행정복지국[자치행정과, 주민복지지원과, 재무과, 관광문화체육과, 군민안전과, 민원지적과, 인구교육가족과, 충남체전준비단], 경제산업국[경제과, 환경위생과, 맑은물관리과, 인삼약초과, 건설교통과, 농정과, 산림녹지과, 도시건축과]이 있다. 직속 기관으로는 금산군보건소[보건행정과, 건강증진과, 예방관리과], 금산군농업기술센터[기술지원과, 스마트농업과, 미래농업과]가 있다. 금산군 사업소로는 금산다락원이 있고, 금산군의회에는 의회사무과가 있다. 금산군 읍면에는 금산읍, 금성면, 제원면, 부리면, 군북면,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 복수면, 추부면이 있다.

[금산군의 읍면 행정 구역]

금산군의 하위 행정 구역은 1개 읍과 9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행정리는 258개, 법정리는 106개이다. 금산읍은 과거 전라북도 시절에 동북부 지역에서 유일한 읍급 도시로서 전주지법 금산지원, 전주지법 금산지청이 설치된 적도 있었으나 1963년 1월 1일 금산군이 충청남도로 편입된 뒤, 대전지법 금산본원, 대전지법 금산본청으로 변경되었다. 금산읍에는 금산군청, 금산경찰서, 금산소방서, 대전지방법원 금산등기소, 금산군보건소, 충청남도 금산교육지원청, 금산향교, 전국 최대 규모의 인삼 시장 등이 있다.

금성면에는 금산 칠백의총, 위성통신 제1지구국이 있다. 군북면에는 통영대전고속도로 금산인삼랜드휴게소가 있다. 남이면은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과 접하고 있으며, 개삼터보석사가 있다. 남일면은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진안군 용담면과 접하고 있는데, 남일면 신동리는 금산군, 충청남도, 충청권 전체의 최남단에 위치하는 법정리이다. 금산군의 최북쪽에 있는 복수면은 대전광역시 남쪽과 접하고 있으며, 복수면 북부 지역은 대전 생활권이다. 부리면은 원래 고려 시대의 부리현(富利縣)의 중심지였다. 청풍서원이 있고, 남쪽으로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과 접한다. 부리면 방우리는 충청남도 최동단 지역으로 생활권과 통학권이 무주읍이다. 제원면한국타이어 금산공장, 통영대전고속도로 금산IC 근처에 금산약초유통센터가 있다.

진산면에는 진산향교진산성당이 있다. 진산면은 옛 진산군의 중심지였으나, 1895년 6월 23일 23부제로 개편되면서 진산군[현 진산면, 추부면, 복수면 일대]과 함께 공주부에 편입되었다. 이듬해 13도제로 개편되면서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6호에 따라 전라북도에 편입되었다. 1914년 3월 1일부로 진산군이 금산군에 통합되었다. 그 후 1962년 12월 12일 「서울특별시, 도, 군, 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법률 제 1172호]에 의한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원 소속인 충청남도로 이관되었다. 근현대 정치인인 유진산(柳珍山)[1905~1974]이 태어난 곳이며, 실제로 출신 지명인 ‘진산’을 필명으로 지었다. 2012년 충남도청이 내포 신도시로 이전함에 따라 지리적 접근성 문제로 남부권 민원 불편을 최소화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공약 사업으로 충남도청 남부출장소를 금산군 진산면에 설치하였다.

추부면에는 중부대학교의 국제캠퍼스, 통영대전고속도로 추부IC가 있으며,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가는 금산 고속버스의 중간 정차지이다. 추부면은 금산군 10개 읍면 중 외국인 유학생과 외국인 노동자가 가장 많은 곳이며, 중부대학교 국제캠퍼스의 외국인 유학생은 2023년 현재 약 1,000명이 넘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