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783
한자 七百義塚管理所
영어공식명칭 Chilbaekchong Management Office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의총길 50[의총리 125-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은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75년 12월 19일연표보기 - 칠백의총관리소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5월 24일 - 칠백의총관리소 소속 기관 문화공보부에서 문화재청으로 변경
최초 설립지 칠백의총관리소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의총길 50[의총리 125-1]
현 소재지 칠백의총관리소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의총길 50[의총리 125-1]지도보기
성격 관리소
전화 041-753-8701
홈페이지 칠백의총관리소(https://700.cha.go.kr)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의총리에 있는 금산 칠백의총을 관리하는 국가유산청 산하 기관.

[개설]

금산 칠백의총(錦山 七百義塚)임진왜란 때 왜군과 싸워 순절한 의병 700여 명의 유골을 안치한 곳이다. 의병장 중봉(重峯) 조헌(趙憲)[1544~1592], 의승장 영규(靈圭) 등 칠백의사가 금산 연곤평에서 1만 5000여 명의 왜적과 맞서 싸우다 모두 순절하자 조헌의 제자인 박정량, 전승업 등이 유해를 거두어 만든 무덤이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의총과 종용사를 훼손하고, 순의비를 폭파한 후 금산 칠백의총의 토지를 강제로 팔아 경역(境域)을 황폐하게 만들어 항일 유적을 말살하였다. 광복 후 1952년 금산군민들이 성금을 모아 의총과 종용사를 다시 지었다. 1963년 1월 21일 금산 칠백의총이 사적 제105호로 지정되었다. 1971년부터 1976까지 보수 정화 작업을 통해 오늘과 같은 모습을 갖추고 칠백의사의 숭고한 호국 정신을 전하고 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의총리 135-1번지에 있으며 면적은 7만 5240㎡이다.

[설립 목적]

임진왜란 때 순절한 칠백의사의 숭고한 호국 정신을 기리고 금산 칠백의총 관리 및 조사 연구를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75년 12월 19일 문화공보부 직속 기관으로 칠백의총관리소가 신설되었다. 1990년 5월 24일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으로 소속 기관이 변경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금산 칠백의총 내의 문화유산, 시설물 및 수목의 보호 관리, 칠백의사의 위업 선양 및 조사 연구, 홍보에 관한 사항, 관람에 관한 사항 및 기타 금산 칠백의총의 관리 운영 업무를 수행한다.

경내에는 금산 칠백의총, 종용사, 순의비각, 칠백의총기념관, 순의탑 등이 있다. 주요 소장 문화유산은 보물로 지정된 조헌 관련 유품이며 『조천일기』, 조헌문과급교지, 치제문, 조헌의병장제수교서, 조헌종축문묘교서가 있다. 매년 9월 23일에 칠백의사 순의제향을 실시하여 칠백의사의 숭고한 호국 정신을 기리고 임진왜란 당시 대표적인 항일 의병 사적지로서의 위상을 높이며, 호국 영령의 애국·애족 정신을 일깨우고 선양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매년 6월에 칠백의사추모예능대회를 개최하여 임진왜란 당시 금산 전투에서 순절한 칠백의사의 참된 의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2022년 8월 ‘광복절, 그리고 모두가 의병’ 체험 행사를 개최하여 의병들의 희생 정신과 애국 정신을 기렸다.

2021년 9월 23일 제429회 순의제향을 맞이하여 칠백의총기념관의 주요 전시 유물을 소개하는 『상설전시도록』을 발간하였다. 『상설전시도록』에는 보물로 지정된 조헌 관련 유품을 비롯해 칠백의총기념관이 전시, 소장 중인 주요 유물 30여 점의 사진과 설명이 실렸다. 금산 칠백의총 경내에 있는 조참판일군순의비의 탁본첩 등 다른 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금산 칠백의총 관련 유물도 수록되었다.

[현황]

칠백의총관리소장 외 12명의 직원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칠백의총기념관은 금산 칠백의총의 역사와 시설을 전하는 로비, 다목적실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칠백의총기념관의 전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영상을 상영하는 4D 영상실 및 교육실, 칠백의사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제1전시실, 칠백의사의 정신을 느껴 보는 램프와 국가의 위기 상황 속에서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희생한 칠백의사의 이야기에 대해 공감하고 그 정신을 기억하며 계승할 수 있는 제2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칠백의사의 숭고한 호국 정신을 재조명함으로써 후세에 애국정신을 함양하는 데 필요한 역사 교육 장소의 역할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