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078
한자 石門
영어공식명칭 Seokmu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탁한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석문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
해당 지역 소재지 석문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 지도보기
성격 바위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에 있는 태고사 입구 역할을 하는 바위.

[명칭 유래]

‘석문(石門)’이라는 지명은 산지를 통과하는 하천의 상류 입구부에 붙거나, 주요한 통로의 입구에 탑처럼 쌓여 있는 암석들이 출입문 역할을 할 때 붙인다. 태고사(太古寺)석문은 후자에 해당한다.

[자연환경]

대둔산(大芚山) 일대는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된 석영 반암이 기반암을 이룬다. 지중에서 풍화를 받아 형성된 암석들이 이동하거나 빙기나 동계에 물의 동결, 파쇄 작용에 의해 깨지면서 배후지와 이어지는 통로가 형성되었다. 석영 반암은 미립질의 암석이라 부분적으로 토양층이 발달해 있으며, 대둔산의 산록에는 식생이 우거져 있다. 대둔산 낙조대 아래에 있는 태고사 밑으로 100m 지점에는 기반암이 지중에서 풍화를 받아 형성된 둥근 암석들이 지표에 노출되어 있다. 암석과 암석 사이에 태고사로 통하는 소로가 개설되어 있고, 도로 양안의 바위는 출입문처럼 보인다.

[현황]

석문을 이루는 두개의 바위 중 좌측에 조선 시대 재상 우암 송시열이 쓴 ‘石門’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암석 사이 작은 통로가 태고사로 들어가는 일주문 역할을 하였다. 안내문에는 석문으로 출입하지 말고 우회하라고 되어 있으나, 지금까지도 사람들이 석문으로 출입하고 있다.

[참고문헌]
  • 『금산군지』 (금산군지편찬위원회, 2011)
  • 「1:25,000 도엽」 -평촌(국토지리정보원, 2014)
  • 국토정보플랫폼(http://map.ngii.go.kr)
  • 금산군청 문화관광(https://www.geumsan.go.kr/tour)
  •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https://data.kigam.re.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