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081
한자 西臺山 奇巖怪石
영어공식명칭 Seodaesan Mountain Unique Rock Formatio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서대리|성당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탁한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서대산 기암괴석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해당 지역 소재지 서대산 기암괴석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서대리|성당리지도보기
성격 암석 지형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서대리성당리 일대 서대산에 발달한 암석 지형 경관.

[개설]

서대산의 주 능선과 정상부, 북서쪽의 닭벼슬봉 부근에는 기반암이 노출되어 다양한 형상의 경관을 이루고 있다. 기암괴석들을 지형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분류하면 암석돔, 급애, 핵석, 토어, 협곡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명칭 유래]

서대산 기암괴석의 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으나, 특이한 형태적 특성을 갖거나, 유력한 인물과의 연관성이 있는 지형들에 대해서는 별도의 이름이 붙어 있다. 대표적으로 용바위, 용굴, 마당바위, 선바위, 남근바위, 사자굴, 살바위, 개덕폭포, 석문, 장녕바위, 북두칠성바위 등이 있다.

[자연환경]

서대산의 주 능선은 중생대 백악기에 분출한 경상계 층군의 유문암이 분포하며 서대산 정상부, 장군봉, 닭벼슬봉, 사자바위, 신선바위, 선바위, 북두칠성바위, 쌀바위 등이 포함된다. 주 능선 북서쪽의 하부 사면에는 중생대 백악기 불국사 화성암류의 석영 반암이 분포하는 곳으로 용바위, 마당바위, 용굴이 있다. 주 능선 남동쪽의 하부 사면에는 중생대 쥐라기의 반상 흑운모 화강암이 분포는 곳으로 선녀바위가 자리한다.

[현황]

주요한 기암괴석들은 서대산의 주 능선과 북서쪽 사면에 대체로 분포하고 있다. 서대산 안전체험파크에서 용바위, 제비봉을 거쳐 주 능선을 통해 정상까지 오른 후 닭벼슬봉, 서대폭포 방향으로 하산하면 서대산 기암괴석에 이르거나 조망할 수 있다. 2015년에 이루어진 전국 자연환경 조사에서는 알려진 기암괴석 외에도 10개의 지형을 절대 보전에 해당하는 1등급으로 지정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