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051
한자 猉斯川
영어공식명칭 Gisacheon Stream
이칭/별칭 기시천,기시내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화림리|제원면 명암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기사천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제원면
해당 지역 소재지 기사천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화림리|제원면 명암리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49.51㎢
길이 11㎞[하천 연장]|11㎞[유로 연장]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화림리에서 발원하여 제원면 명암리에서 봉황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개설]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하천 중·하류 유역의 충적지에서 주거, 농업 등의 삶을 이어 오고 있다.

[명칭 유래]

명칭 유래가 전하지 않는 가운데 현재 지명의 한글 및 한자 표기 ‘기사천(猉斯川)’은 ‘기시천(麒嘶川)’의 단순한 오기(誤記)라는 주장도 있다. 이는 현재 지명 ‘기사천(猉斯川)’은 한자 표기상으로도 의미를 찾기 어려우나, ‘기시천(麒嘶川)’은 “태평성대에 나타나는 신령(神靈)한 짐승 기린(麒麟)[수컷]이 애처롭게 운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데서도 드러난다. 기시천(麒嘶川)은 ‘기시내’로도 불렀다고 한다.

[자연환경]

기사천금강 수계의 지방 하천으로 금강의 제2지류, 봉황천의 제1지류이다. 하천의 수계는 본류인 기사천과 지류인 개성천, 오룡천, 외부천으로 이루어져 있다.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화림리 닭이봉[509.8m] 남서쪽 산지 월봉(月峰) 자락에서 발원하여 심층 풍화된 기반암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후 동쪽으로 흘러 화림저수지를 만들고, 상가리 새터를 지나 계속 동쪽으로 흐르다가 양전리 앞에서 동남쪽으로 방향을 바꾼 후 청룡안 앞에서 대암천과 합류, 군북면 남쪽 경계를 거쳐 제원면 명암리에서 봉황천에 유입된다. 봉황천과 합류한 후엔 제원면 제원리에서 금강 본류와 합류한다.

[현황]

하천 연장 11㎞, 유로 연장 11㎞이며, 유역 면적은 49.51㎢이다. 하상 경사는 1/100~1/390로 비교적 경사가 급하다. 하천 유역의 모양은 은행잎 형상을 이루고 있다. 금산군 금성면 화림리의 발원지에서 제원면 명암리봉황천 합류 지점까지의 유로는 대체로 동서 방향으로 곡류하고 있다. 유로의 길이가 비교적 길고 저평지를 흐르고 있어서 중류부와 하류부의 대부분에 비교적 규모가 큰 범람원 충적지를 형성하고 있는데, 특히 중류부 파초리 일대의 범람원 충적지가 가장 크다. 중류부와 하류부의 범람원 충적지 대부분은 논으로 개발되어 있고, 경지 정리가 잘 되어 있다. 하천 인근의 소구릉지 사면 곳곳에서는 인삼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류부에는 화림저수지와 상엄저수지가 축조되어 있는데, 화림저수지는 비교적 규모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