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104
한자 大芚山 摩天臺
영어공식명칭 Daedunsan Mountain Macheondae Peak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탁한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0년 11월 - 마천대 개척탑 건립
전구간 대둔산 마천대 - 충청남도 금산군
해당 지역 소재지 대둔산 마천대 - 충청남도 금산군
성격 봉우리
높이 836.6m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논산시,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에 걸쳐 있는 대둔산의 최고봉.

[개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행한 「1:25,000 도엽」[장선]에는 대둔산[878.9m] 정상과 남서쪽에 마천대[836.6m]를 별도로 표기하고 있다. 실제 대둔산에서는 마천대를 정상으로 안내하고 있다. 대둔산 마천대는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과 충청남도 논산시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금산군의 경계는 배티재~상여봉바위~낙조대로 이어지는 능선의 북쪽에 해당한다.

[명칭 유래]

마천대의 지명은 문지를 마(摩), 하늘 천(天)을 써서 “하늘에 닿는다”는 뜻으로 원효대사가 붙인 이름이라 한다

[자연환경]

선캄브리아기 후기에서 고생대까지 걸쳐 있는 옥천 층군과 고생대 초기의 대석회암통을 관입한 중생대 백악기의 석영 반암이 기반암을 이루고 있다.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낙조대~칠성봉~마천대~서각봉이 주 능선을 이룬다. 기반암이 풍화를 받은 후 풍화 물질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기반암이 노출되어 암석 돔, 토어, 급애와 같은 지형들이 곳곳에 분포한다.

[현황]

대둔산은 1977년 3월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에서 도립 공원으로 지정하였으며, 1980년 5월에는 충청남도에서 논산시와 금산군 지역을 별도로 도립 공원으로 지정하였다. 마천대에는 1970년 11월 전라북도 완주시 공무원들이 자제를 직접 운반하여 건립한 높이 10m의 개척탑이 자리잡고 있다. 개척탑은 1989년 10월 스테인레스 탑으로 정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참고문헌]
  • 『금산군지』 (금산군지편찬위원회, 2011)
  • 「1:25,000 도엽」 -장선(국토지리정보원, 2014)
  • 국토정보플랫폼(http://map.ngii.go.kr)
  • 디지털논산문화대전(https://nonsan.grandculture.net)
  •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https://data.kigam.re.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