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059 |
---|---|
한자 | 鴨秀川 |
영어공식명칭 | Apsucheon Stream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회 |
전구간 | 압수천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
---|---|
해당 지역 소재지 | 압수천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 |
성격 | 하천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에서 발원하여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개설]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하천 중·하류 유역의 충적지에서 주거, 농업 등의 삶을 이어 오고 있다.
[명칭 유래]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의 ‘압수골(鴨秀-)’에서 지명이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데, 압수골은 겨울철에 기러기, 오리 등 철새가 모여드는 마을이라 해서 압수(鴨秀)·압수곡(鴨秀谷) 등으로 불려졌다고 한다.
[자연환경]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동남쪽에 있는 양각산 서쪽에서 발원하여 서북쪽으로 흐르다가 압수골에서 서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북쪽으로 흘러가는 금강에 유입된다.
[현황]
부리면 어재리 소재 양각산 발원지에서 금강 본류 합류 지점까지는 대체로 곡류(曲流)하고 있는데, 하천이 비교적 소규모여서 범람원 충적지의 형성도 미약하다. 범람원 충적지는 대부분 논으로 개발되어 있다. 구릉지 사면에서는 인삼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류부에는 인공 제방이 축조되어 있다. 하천 연변의 마을로는 압수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