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026
한자 地形
영어공식명칭 Geomorphological Features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 나타나는 지표면의 기복 및 형태.

[개설]

금산군은 충청남도의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발 고도 400~700m의 산지로 둘러싸인 전형적인 산간 분지이다. 금산군의 평균 해발 고도는 약 250m로 충청남도의 평균 해발 고도인 약 100m보다 2.5배나 높다. 금산군은 ‘충청남도의 알프스’라고 불리는 청양군보다 높아서 충청남도의 제일가는 산악군(山岳郡)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산군이 충청남도 제일의 산악군이 된 원인은 바로 험준한 노령산맥(蘆嶺山脈)의 분수계(分水界)를 따라 대부분의 산지들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금산군의 동서남북의 군계(郡界)를 병풍같이 둘러싼 산지 능선상의 산봉우리들은 예외없이 노령산맥의 주 봉우리들이다.

[금산군 지역의 전체적 지형 특성]

금산군 지역의 지형 특성은 ‘전체적 지형 특성’과 ‘지형면(地形面) 분류별 특성’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금산군 지역의 지형은 전체적으로 침식 분지 지형을 이루고 있다. 즉 금산군의 행정 경계가 되는 배후 산지는 400m 이상의 험준한 산악지를 형성하며, 이들 산지에 인접한 지역에는 해발 고도 200~300m 내외의 침식면인 완사면(緩斜面) 지형, 100m 부근까지는 구릉지, 그리고 그 이하의 해발 고도에는 충적지가 펼쳐진다.

[금산군 지역의 지형면 분류별 특성]

금산군 지역의 지형면을 분류하면 배후 산지, 침식면과 구릉지, 개석지(開析地) 및 충적지 등으로 구분되며, ‘지형면 분류별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배후 산지

금산군의 배후 산지는 대체로 400~700m의 산지 능선에 의해 주변 시 및 도와 행정 경계를 이루며, 동쪽으로는 추부면서대산(西臺山)[903.7m]·매봉·대성산(大聖山)[704.8m], 제원면국사봉(國師峰)[667.5m]·천태산(天台山)[714.7m]·천앙봉(天仰峰)[480m]·월영봉(月影峰)[528.6m], 부리면의 성주산(聖主山)[623.9m]·양각산(兩角山)[568.3m]에 의해서 충청북도와 경계를 이룬다. 남쪽으로는 부리면의 갈선산(葛仙山)[479.9m]·베틀봉[537.8m]·수로봉(水路峰)[505.7m], 남일면의 덕기봉(德基峰)[542m]·갈미봉(渴味峰)[495m]·구봉[575m], 남이면성치산(城峙山)[670.4m]·오두재[501m]와 연결되어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진안군과 경계를 이룬다. 서쪽으로는 남이면선야봉(仙冶峰)[758.7m], 진산면배티재·오대산(五臺山)[569.1m]·대둔산(大芚山)[877.7m]이 전리북도 완주군과 충청남도 논산시를 분리시키며, 북쪽으로는 복수면의 안평산(安平山)[470.2m]·조중봉[333.5m], 추부면만인산(萬仞山)[537.1m]·지봉산(止鳳山)[464.3m]·마달령(馬達嶺)[315m]·도덕봉(道德峰)[447.3m]이 대전광역시 동구와 충청북도 옥천군을 경계로 한다.

2) 침식면과 구릉지

침식면과 구릉지들은 배후 산지에서 뻗어 내린 사면(斜面)을 따라서 해발 고도 200~300m에 발달하여 있다. 침식면과 구릉지의 말단부에는 북북동 방향으로 금강(錦江)의 4차 지류인 기시천(麒嘶川)이 흐르고, 이 하천의 소지류에 의하여 침식면이 개석(開析)당하면서 구릉지가 발달되어 왔다. 침식면과 구릉지의 경사는 1~4°로 매우 평탄하며, 이에 반해서 배후 산지는 15~25°의 급사면을 이루고 있어서 양 사면이 접하는 곳에 단순한 직선상의 경사 급변점(急變點)이 존재한다. 금산군 지역에서의 경사 급변점은 침식면과 구릉지의 기반암인 흑운모 화강암과 배후 산지를 구성하고 있는 석영 반암의 이질 암석 간의 경계선과 일치하는데, 이는 금산분지(錦山盆地)의 발달과 암질 사이에 관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3) 개석지 및 충적지

금산분지금강 본류가 분지 내를 관통하지 않고, 비화강암 지역인 금산군 부리면 방우리로 들어와서 심하게 곡류하면서 충청북도로 유입하므로 분지 내에는 단지 금강의 지류인 유등천(柳等川)·봉황천(鳳凰川)·조정천(鳥亭川) 등의 소지류들이 망상(網狀)으로 흐르고 있다. 이들 하천들은 구릉지 지역에서 규모는 크지 않지만 충적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배후와는 완만한 경사의 구릉지와 연결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