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066 |
---|---|
한자 | 秋風川 |
영어공식명칭 | Chupungcheon Stream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성당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회 |
전구간 | 추풍천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
---|---|
해당 지역 소재지 | 추풍천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성당리![]() |
성격 | 하천 |
면적 | 61.49㎢ |
길이 | 9㎞[하천 연장]|12.69㎞[유로 연장]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에서 발원하여 성당리에서 소옥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개설]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는 금강 본류가 흐르고, 금강 본류에는 여러 개의 지류 하천들이 유입되고 있다. 지류 하천들은 유역의 지질, 지형 등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금강 본류와 지류 하천들은 대부분 금산분지 내부에서 하계망을 근간으로 크고 작은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예로부터 금강 본류 및 지류 하천 중·하류 유역의 충적지에서 주거, 농업 등의 삶을 이어 오고 있다.
[명칭 유래]
명칭과 관련하여 명확한 유래를 찾기 어려우나, 한글 및 한자 표기 ‘추풍천(秋風川)’은 ‘가을바람’의 단순한 의미를 넘어 하천이 위치한 추부면의 자연환경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자연환경]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에서 발원하여 비례리, 자부리, 요광리, 신평리 등을 거쳐 성당리에서 소옥천으로 합류한다. 금강 수계의 지방 하천으로 금강의 제2지류, 소옥천의 제1지류이다. 하천의 수계는 본류인 추풍천과 지류인 서대천, 성당천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황]
하천 연장 9㎞, 유로 연장 12.69㎞이며, 유역 면적은 61.49㎢이다. 하상 경사는 상류부 1/150, 중류부 1/250, 하류부 1/180로 나타났다. 하천 연변에 비교적 넓은 범람원 충적지를 북동-남서 방향의 대상(帶狀)으로 형성하고 있다. 범람원 충적지의 규모는 마전리 일대에서 가장 크다. 범람원 충적지의 대부분은 논으로 개발되어 있고, 논은 경지 정리가 잘 되어 있다. 범람원 충적지 주변의 소구릉지 사면에서는 인삼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 연변의 농경지 주변에는 많은 마을들이 입지해 있는데, 마전리의 하마전·마전·상마전·양청이·태봉, 비례리의 골말·마음동·갈마지, 자부리의 윗자부리·남산, 신평리의 원당리·밤나무골, 성당리의 금동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