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용바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080
영어공식명칭 Uiyongbawi Rock
이칭/별칭 숭암의용바위,용바위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장대리 380-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탁한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8년 - 의용바위 상류에 숭암저수지 축조
전구간 의용바위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장대리
해당 지역 소재지 의용바위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장대리 380-1 지도보기
성격 바위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장대리 숭암저수지 근방에 있는 바위.

[명칭 유래]

아들이 용왕신의 딸에 빠져 백성 돌보기를 소홀히 하고, 급기야 학대에 이르는 모습을 본 천제가 아들과 며느리인 용왕신의 딸을 벌하는 내용의 설화가 전해진다. 용바위는 천제의 천둥과 번개를 맞은 용왕신의 딸이 형상화된 것이다. 용바위 주변에는 설화에서 기원한 병풍바위, 퉁수바위 등이 분포하고 있다. 서대산의 용바위와 구분하기 위해 의용바위, 숭암의용바위로 부른다.

[자연환경]

철마산~성재산 능선의 동쪽에서 발원하는 하천은 능선을 뚫고 협곡을 형성한 후 숭암마을을 지나 금산군 추부면 소재지에서 추풍천에 합류한다. 협곡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하천의 기반암이 드러나 있고 경사가 급하다. 유역의 면적이 좁아 유량이 적은 까닭에 하천 유역인 추부면 장대리 숭암마을은 가뭄이 빈번하였고, 이 때문에 기우제를 자주 지냈다.

[현황]

강수량이 많지 않고 화강암 풍화층이 발달하여 토양이나 풍화층에 함수율이 높지 않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가뭄이 잦다. 이를 막기 위해 의용바위 상류에 1958년 숭암저수지가 축조되었다. 의용바위는 소규모 하천 변에 위치한 선돌이었으나 숭암저수지 축조로 제방 하부에 위치하게 되었다. 하천과 주변 도로와의 고도차가 있어 접근이 제한적이고, 도로변에서도 식생으로 지형을 조망하기 어렵다.

[참고문헌]
  • 금산군청(https://www.geumsa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