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086 |
---|---|
영어공식명칭 | Dogutongbawi Rock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탁한명 |
전구간 | 도구통바위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
---|---|
해당 지역 소재지 | 도구통바위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 |
성격 | 바위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진악산에 있는 바위.
[개설]
도구통바위는 진악산 물굴봉에서 남쪽 능선을 따라 약 400m 거리에 있는 절구통 형태의 바위이다. 풍수적으로 노적봉이 노적가리, 금산읍이 확, 도구통바위가 절구, 방아고개가 방아다리 형국이라 금산군이 풍요롭게 산다고 전해진다. 선사 시대 소도의 솟대로 전해지고 있다.
[명칭 유래]
‘도구통’은 절구통의 방언으로 진악산 능선상에 있는 바위의 형태에서 유래되었다. 외형적으로 절구통을 닮았을 뿐 바위 내부에 와지가 형성되어 오목한 형상을 띠는 것은 아니다.
[자연환경]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석영 반암이 기반암을 형성하였다. 도구통바위는 능선상에 단일한 암체로 솟아 있어 지형학에서 풍화 지형으로 분류하는 토어(tor)로 볼 수 있다. 지하에 있던 기반암이 지표에 가까워지면서 압력이 해제되며 절리가 형성되어 지표에 노출된다. 이후 지표 환경에서 풍화, 침식을 받으면서 절리를 따라 암석이 떨어져 나가면 능선상에 탑과 같은 형태의 지형이 남게 되는데 이를 토어라고 한다. 토어는 아열대 기후에서 지중 풍화를 겪고, 빙기에 풍화 산물이 빠져나가면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다른 성인으로 빙기나 동계에 물의 동결과 부피 팽창으로 인한 파쇄 작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데, 도구통바위는 후자에 가깝다.
[현황]
2017년 전국 자연환경 조사에서는 도구통바위를 포함한 일대의 암석 돔을 절대 보전 지역인 1등급으로 지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