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금산군에 서식 및 분포하는 동물. 충청남도 금산군은 노령산맥의 산지와 금강과 그 지류들, 산간침식분지가 어루어진 고장이다. 금산군의 평균 해발고도는 250m로, 서대산[904m], 대둔산[878m], 천태산[715m] 등 고도가 높은 산지가 발달하여 충청남도의 평균 해발고도 보다 2.5배나 높다. 남동쪽을 흐르는 금강은 심하게 감입곡류하여 좁은 골짜기를 이루다 봉황천과 만...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에 위치하는 전국 최대 반딧불이 서식지. 우리나라에서 불빛을 내면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는 반딧불이는 애반딧불이, 늦반딧불이 및 운문산반딧불이 총 3종이다.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용강에 서식하는 반딧불이는 운문산반딧불이로, 1932년에 경상북도 청도 운문산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운문산반딧불이’라고 명명하였다. 암컷이 날지 못하기 때문에 관찰과 채집에 어려...
어류
-
충청남도 금산군의 군어. 감돌고기는 금강과 만경강에 서식하는 우리나라 고유어종이자 멸종위기종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강에 서식하는 잉어과의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 몸은 원통에 가깝지만 약간 납작한 편이며, 주둥이에 한쌍의 긴 수염이 있다. 몸 옆에 검은 점들이 7~8개의 줄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조류
-
충청남도 금산군에 서식하는 두견이과의 천연기념물. 두견이는 몸 길이 26~28㎝로, 몸이 가늘고 작으며, 몸 색이 뻐꾸기류와 비슷하다. 부리는 검은색, 홍채는 붉은색, 다리는 노란색이다. 수컷의 머리, 뒷목, 등 및 허리는 회색이고, 배는 흰 바탕에 검은색 가로 줄무늬가 있다. 날개는 진한 갈색이다. 꼬리깃이 근사종보다 긴 편이고 쐐기모양이다. 암컷은 몸 윗면이 적갈색을 띠는 개체...
-
충청남도 금산군에 서식하는 수리과 새매속의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 붉은배새매는 몸 길이 수컷 30㎝, 암컷 33㎝로, 무게는 80~160g정도 이다. 암수 모두 몸의 위쪽은 푸른색을 띤 짙은 회색이고, 가슴과 배는 주황색, 아랫배는 흰색이다. 날개 밑부분은 옅은색으로 무늬가 없고 끝이 검다. 수컷의 눈 색은 어두운 붉은색으로 먼거리에서는 검게 보이며, 암컷의 눈은 노란색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에 서식하는 수리과 새매속의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 새매는 암수의 개체수 차이가 커서, 암컷은 비교적 자주 관찰되지만, 수컷은 보기 어렵다....
-
충청남도 금산군에 서식하는 올빼미과 소쩍새속의 천연기념물. 소쩍새는 국내에서 확인된 올빼미 중 가장 작은 종으로, 몸 길이는 18.5~21.5㎝이다. 몸 색이 회갈색형과 적갈색형이 있다. 회갈색형은 몸 전체가 회갈색이며, 갈색, 검은색, 회색 등이 어우러진 얼룩 무늬가 있다. 적갈색형은 온 몸이 붉은 빛이 도는 적갈색이고, 가슴과 배에 노란빛을 띠는 갈색 줄무늬가 있다. 머리에는...
-
충청남도 금산군에 서식하는 올빼미과 솔부엉이속의 천연기념물. 솔부엉이는 몸 길이 27~33㎝로, 얼굴이 둥글고 귀뿔이 없다. 몸 윗면은 전체적으로 진한 갈색이고, 아랫면은 흰색 바탕에 갈색의 굵은 세로 줄무늬가 있다. 꼬리는 연한 황갈색 바탕에 갈색 가로 줄무늬가 있다. 눈은 황색이고, 부리는 흑갈색이며, 주변은 흰색이다. 다리는 털이 있고, 발가락은 황색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에 분포하는 오리과 원앙속의 천연기념물. 오래 전 중국에서는 원앙의 수컷과 암컷의 색 차이가 커, 서로 다른 종으로 다루었다. 수컷을 원(鴛), 암컷을 앙(鴦)이라고 불렀으나, 후에 분류학적으로 같은 종인 것을 알게 되어 ‘원앙’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
충청남도 금산군에 서식하는 수리과 개구리매속의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 잿빛개구리매는 몸길이 43~52㎝이며, 수컷과 암컷이 확연히 다른 색을 띤다. 수컷은 이마, 머리, 뒷목, 등, 꼬리 및 앞가슴이 푸른빛이 노는 회색이고, 배는 흰색이다. 허리의 반달 모양 흰 반점이 특징적이다. 암컷은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며, 몸 아랫면은 어두운 흰색 바탕에 갈색 세로 줄무늬가 있다. 꼬리깃...
-
충청남도 금산군의 부리면, 제원면, 군북면 일대에 서식하는 수리과의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 참매는 몸 길이 50~56㎝로, 몸 윗면은 어두운 청회색, 아랫면은 조밀한 가로 줄무늬가 있다. 머리꼭대기와 뒷머리는 검은색, 뒷멱은 갈색을 띤 검은색에 흰색 점이 있다. 뺨, 턱밑, 멱은 흰색이다. 수컷은 겨울깃은 앞이마가 흰색이고, 눈썹선은 흰색이며, 얼룩무늬가 있다. 암컷은 수컷과...
-
충청남도 금산군의 서대산과 만인산에 서식하는 올빼미과 소쩍새속의 천연기념물. 사냥할 때나 먹이를 물고 둥지로 돌아올 때 소리가 전혀 나지 않아 ‘소리 없는 사냥꾼’이라는 별명이 있다....
-
희망과 행복을 의미하는 충청남도 금산군의 군조. 파랑새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흔한 여름철새로, 우리나라, 일본, 만주 동부, 중국 동부 등지에서 번식하며, 말레이반도, 발리, 미얀마 등지에서 겨울을 보낸다....
-
충청남도 금산군에 서식하는 매과 매속의 천연기념물. 황조롱이는 영국, 유럽, 중국 남부, 일부 북부 아프리카, 중남부 아프리카, 이란, 일본, 한국 등지에서는 텃새이고, 유라시아 대륙에서 번식하며, 인도, 히말라야, 인도차이나반도 등지에서 겨울을 보낸다....
파충류
-
충청남도 금산군에 서식하는 뱀과 뱀속의 멸종위기종. 과거에는 먹구렁이와 황구렁이 두 아종이 있다고 하였으나, 형태·유전학적으로 차이가 없어 구렁이로 합쳐졌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강에서 서식하는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인 토종 담수성 거북. 남생이의 몸길이는 25~45㎝이며, 등껍질과 배껍질은 검은색, 어두운 갈색 또는 황갈색으로, 여러 개의 판으로 나뉘어져 있다. 등껍질의 가운데와 양쪽 등면에는 뚜렷한 3개의 용골[가운데가 위로 솟아있는 비늘]이 있고, 가장자리는 둥글다. 머리 윗면은 어두운 녹색, 검은색 또는 녹회색이며 무늬가 없다....
-
충청남도 금산군에 서식하는 거북목 자라과에 속하는 파충류. 자라는 강이나 저수지에 주로 서식한다. 충청남도 금산군은 산림, 하천, 농경지 등 다양한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염이 적어 파충류가 살기 양호하다....
포유류
-
충청남도 금산군 금강과 유등천 등에서 서식하는 족제비과의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 수달은 무분별한 하천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괴, 생활하수, 공장폐수 등으로 인한 물 오염 및 남획 등으로 개체수가 급감하여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1993년 이후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