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177
한자 錦城面
영어공식명칭 Geumseong-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3월 1일연표보기 - 전라북도 금산군 금성면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63년 1월 1일 - 전라북도 금산군 금성면에서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으로 개편
성격 법정면
면적 34.65㎢
가구수 1,788가구
인구[남/여] 3,140명[남 1,627명/여 1,513명]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법정면.

[명칭 유래]

1914년 행정 구역을 병합할 때 금산군의 서일면(西一面)과 서이면(西二面), 북일면(北一面) 일부를 합치고 금성산의 이름을 따서 ‘금성면’이라고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후기에는 대부분 지역이 금산군의 서일면과 서이면에 속하였다. 서일면, 서이면은 금산군의 서쪽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1895년(고종 32) 지방 관제 개편 때 공주부 금산군 관할이 되었고, 1896년 전라북도 금산군에 편제되었다. 1914년 3월 1일 행정 구역을 병합할 때 서일면, 서이면에 북일면 일부를 합하여 금성면으로 하였다. 당시 서일면의 추동리, 음전리, 양전리, 도곡리, 상백리, 하백리, 오룡리, 파초리, 상가리, 하가리, 두곡리, 월곡리, 화림리, 상탄리, 성저리, 석현리, 다각리 등 17개 리와 서이면의 상류리, 하류리, 장목리, 중류리, 음지리, 양지리, 서당리, 의총리, 소곡리, 신흥리, 마수리, 상신리, 중신리, 하신리, 와여리, 대암리 등 16개 리, 북일면의 상신리 일부를 합하였다. 1963년 1월 1일 지방 행정 체제 개편에 따라 금산군이 충청남도에 편입되어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이 되었다.

[자연환경]

금성면은 면의 남쪽에 있는 금산읍과 함께 금산군 중앙의 금산분지에 자리 잡고 있다. 금성면 지역은 대체로 낮은 구릉지대를 형성하고 있는데, 금산읍금성면 일대를 아우르는 금산천기사천 유역, 즉 금내 유역권에 해당한다. 이를 바탕으로 금성면금산읍과 역사, 문화, 생활에 이르기까지 동일 문화권을 이루고 있다. 금성면의 산들은 크게 보면 월봉산을 시작으로 하며, 이는 서쪽의 금산군 진산면 엄정리와 경계를 이룬다. 그리고 이 산줄기는 북으로 이어지며 금성산[438.6m]에 이른다. 금성산은 북쪽 미륵재를 거쳐 금산군의 금성면추부면을 가르며 삽재에 이르러 산줄기가 나뉜다. 그중 한 줄기는 남쪽 방향으로 가는데, 이는 금성면 대암리 닭이봉을 지나면서 금산군 군북면과 경계를 이룬다. 금성면군북면 사이에는 외부천이 흐른다. 금성면 화림리월봉산에서 발원하는 기사천금성면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관통하여 흐르는 주요 하천으로, 금성면 하천을 모두 합류하여 결국 봉황천에 이르는 물줄기이다. 기사천금성면 두곡리 금성산 아래에서 발원하는 개성천, 금성면 상가리에서 동남쪽에서 흘러내리는 금성천, 월봉산 자락의 금성면 도곡리 오룡골에서 발원하는 오룡천과 합류한다.

[현황]

금성면은 11개 법정리[양전리·도곡리·화림리·상가리·두곡리·파초리·하류리·의총리·마수리·하신리·대암리], 22개 행정리, 102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적은 34.65㎢로, 금산군 전체 면적[577.14㎢]의 6%에 해당한다. 2023년 10월 31일 기준 1,788가구, 3,140명[남자 1,627명, 여자 1,513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금성면의 동쪽에서 남북으로 통하는 통영대전고속도로가 지나가며, 그 왼편으로 국도 제37호선이 지나간다. 또 금성면의 서쪽에서 동남쪽으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이 관통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