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547 |
---|---|
한자 | 趙憲祠堂(表忠祠)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수심대길 30[곡남리 369]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규완 |
건립 시기/일시 | 1734년![]()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76년 - 조헌사당(표충사) 조헌 관련 자료 종용사로 이전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4년 5월 17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조헌사당(표충사)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
현 소재지 | 조헌사당(표충사)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수심대길 30[곡남리 369]![]() |
원소재지 | 조헌사당(표충사)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곡남리
![]() |
성격 | 사당 |
양식 | 맞배지붕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2칸 |
소유자 | 배천 조씨 문열공파 |
관리자 | 배천 조씨 문열공파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곡남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개설]
조헌사당(趙憲祠堂)[표충사(表忠祠)]은 16세기 유학자이자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전사한 중봉(重峯) 조헌(趙憲)을 모신 사당이다. 조헌은 관직에서 물러난 뒤, 충청북도 옥천군 안읍밤티(安邑栗峙)에 후율정사(後栗精舍)를 짓고 후학 양성과 학문에 전념하였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조헌은 옥천 지역에서 의병을 모아 전투에 참여하였다. 처음에는 청주성 전투에 참여하였다가 금산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금산 지역에서 영규(靈圭)의 승군과 함께 금산 전투(錦山 戰鬪)에 참여하였으며, 의병과 함께 전사하였다. 동생 조범(趙範)이 조헌의 시신을 수습하여 옥천 지역에 묘를 조성하였으며, 조헌의 문인들이 함께 전사한 칠백의병의 유골을 수습하여 금산 칠백의총(錦山 七百義塚)을 건립하였다. 이후 조헌은 이조참판과 이조판서,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에 책록되었으며, 시호 ‘문열(文烈)’이 내려졌다. 1734년(영조 10)에는 충청북도 옥천군에 있는 표충사가 중수되었고 사액을 받았다. 1883년(고종 20)에 문묘에 배향되었다.
[위치]
조헌사당(표충사)은 금산군 복수면 곡남리 369번지 송촌마을 안에 있다.
[변천]
조헌사당(표충사)은 1734년에 금산군 복수면 곡남리의 진동산에 건립되었다. 이후 사당이 낡아 허물어지자 지역 유림과 후손들이 배천 조씨가 세거하는 현 위치로 이전하였는데,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종용사(從容祠)에 조헌이 주향으로 모셔지면서 문중에서 사당을 관리하고 있다. 1970년 대에 종용사가 증축되면서 조헌사당에 보관되어 있던 자료도 모두 종용사로 옮겨 갔다.
[형태]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정문과 돌담이 있으며, 사당 위쪽 바위에 ‘수심대(水心臺)’라고 적혀 있다. 수심대는 조헌이 직접 지었으며, 글씨는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새겼다.
[현황]
조헌사당(표충사)은 1984년 5월 17일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현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0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소유자 및 관리자는 배천 조씨 문열공파이다. 매년 음력 8월 17일에 문중이 모여 향사를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