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272
한자 秋富面
영어공식명칭 Chubu-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백세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3월 1일연표보기 - 전라북도 금산군 추부면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63년 1월 1일 - 전라북도 금산군 추부면에서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용지리에서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용지리로 개편
성격 법정면
면적 49.18㎢
가구수 3,316가구
인구[남/여] 5,848명[남 3,104명/여 2,744명]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법정면.

[개설]

추부면은 금산군의 북동쪽에 자리한 지역으로, 충청남도에서 제일 높은 서대산이 있다. 서북쪽과 동북쪽으로 산줄기가 타원형으로 둘러싼 형태이며, 산줄기 중앙으로 추풍천이 충청북도 옥천군 방향으로 흘러간다.

[명칭 유래]

추부면은 조선 시대 진산군의 동일면(東一面)과 동이면(東二面) 지역이었다. 동일면과 동이면은 진산군의 동쪽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정 통폐합할 때 동일면 추정리와 동이면 자부리에서 한 글자씩 따와 추부면이라고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추부면 지역에는 오래전부터 마을이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조선 전기에 큰 마을로 발전한 것으로 추정한다. 조선 후기에는 진산군 지역으로 1789년(정조 13) 발간한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진산군의 동일면에 숭암리, 장대리, 추동, 마전리, 미삭리, 마음동, 남산동 등 7개 마을이 나오고, 동이면에 자부리, 비례리, 요광원, 행정리, 검한리, 장동, 원당리, 벌리, 검동, 성덕리, 서대리, 율목동 등 12개 마을이 보인다. 『1872년 지방지도』「진산군지도」에는 동일면에 마전리, 장대리 등 7개 마을이 나오고, 동이면에 자부리, 비례리 등 13개 마을이 보인다. 1895년(고종 32) 지방 관제 개편 때 진산군금산군이 공주부 금산군이 되었고, 1896년 전라북도 금산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3월 1일 행정 구역을 병합할 때 동일면과 동이면 지역을 합하여 추부면을 개설하고 추정리, 마전리, 장대리, 요광리, 신평리, 성당리, 서대리, 비례리, 자부리의 9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1963년 1월 1일 지방 행정 체제 개편에 따라 금산군이 충청남도에 편입되어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이 되었다. 1973년 복수면 용지리가 추부면에 편입되었다.

[자연환경]

추부면의 북쪽은 대전광역시 동구 삼괴동과 충청북도 옥천군 군서면, 동쪽은 금산군 군북면, 남쪽과 서쪽은 금산군의 금성면복수면, 대전광역시 동구 상소동과 접한다. 추부면은 금산 금남정맥 구간의 궁산에서 시작하는 산줄기 하나가 동북쪽으로 뻗어 금성산을 만들고 계속하여 동북쪽으로 흘러가 충청남도에서 제일 높은 서대산을 형성하는 줄기와, 금성산에서 서북쪽으로 흘러가 달기봉과 만인산, 머들령을 거쳐 성당리 지경소로 들어가는 산줄기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북쪽으로 도계교를 건너서 옥천군 군서면으로, 남쪽으로 미륵재와 삽재를 통과하여 금성면으로, 동쪽으로 민재를 통하여 군북면으로, 서쪽으로 추부터널과 마달터널을 통하여 대전광역시와 수리넘어재를 넘어 복수면과 연결된다. 금성산, 북산, 만인산의 골짜기에서 시작하는 추풍천이 민재, 서대산 골짜기에서 흐르는 서대천과 신평리에서 합쳐져서 흐르다가 성당리에서 닭이치 물줄기와 만나서 서화천을 이루고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경계인 지경소에서 옥천의 금강으로 흘러간다.

[현황]

추부면은 10개 법정리[용지리·추정리·장대리·마전리·비례리·자부리·요광리·서대리·신평리·성당리], 27개 행정리, 90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적은 49.18㎢로, 금산군 전체 면적[577.14㎢]의 8.52%에 해당한다. 2023년 10월 31일 기준 3,316가구, 5,848명[남자 3,104명, 여자 2,744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추부면의 소재지는 마전리이다. 추풍천 주변으로 넓은 들판이 형성되어 있어 주민들은 주로 깻잎과 포도를 비롯한 여러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다. 동북쪽의 완경사면에 1차 산업, 2차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농공 단지가 들어서 있다. 추부면의 중앙에서 남북 방향으로 통영대전고속도로가 지나가며, 국도 제17호선국도 제37호선, 지방도 제601호선이 종횡하여 교통이 편리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