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 있는 운송 수단과 운송로. 금산군은 충청남도 남동부에 자리하여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논산시, 충청북도의 옥천군·영동군, 전북특별자치도의 무주군·완주군과 인접하여, 이들 지역과 이어 주는 도로 및 지방도가 발달하였다. 금산군의 중앙부로 통영대전고속도로가 지나가고, 금산읍 시가지를 비롯하여 중동부에는 남북 방향으로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37호선이 관통하며,...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에 있는 고속·시외버스 터미널. 금산군에서 타 지역으로 이동하는 주민들과 금산군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위하여 금산종합터미널을 만들었다....
도로
-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서 사람과 차가 다니는 비교적 넓고 큰 길. 도로의 사전적 의미는 “사람, 차 따위가 잘 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비교적 넓은 길”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도로법」에 따르면 차도, 보도(步道), 자전거 도로, 측도(側道), 터널, 교량, 육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로 구성된 것으로서 제10조에 열거된 것을 말하며, 도로의 부속물을 포함한다. 도로의...
-
충청남도 금산군을 거쳐 경상남도 통영시와 대전광역시를 잇는 고속 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는 경상남도 통영시를 기점으로, 고성군·진주시·사천시·산청군·함양군,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무주군, 충청남도 금산군을 거쳐 대전광역시 동구를 종점으로 하여 남북을 잇는 고속 도로이다. 금산군 내는 부리면, 제원면, 군북면, 금성면, 추부면을 지난다....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남이면, 금산읍, 금성면을 지나는 일반 국도.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에서 시작하여 전라남도 해남군, 영암군, 나주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담양군, 곡성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을 거쳐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까지 연결하는 일반 국도이다. 금산군 내는 남일면과 남이면, 금산읍, 금성면을 거쳐 지나간다....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복수면, 추부면을 지나는 일반 국도.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에서 시작하여 전라남도 순천시, 구례군, 곡성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임실군, 완주군, 충청남도 금산군,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청주시, 진천군, 경기도 안성시, 용인시를 거쳐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까지 연결하는 일반 국도이다. 금산군 내는 진산면과 복수면, 추부면을 거쳐 지나간다....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남일면, 금산읍, 금성면, 군북면, 추부면을 지나는 일반 국도.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에서 시작하여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충청남도 금산군, 경상북도 상주시, 충청북도 옥천군, 보은군, 괴산군, 음성군, 경기도 이천시, 여주시, 양평군, 가평군, 포천시, 연천군을 거쳐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을 잇는 일반 국도다. 금산군 관내에 들어서면 부리면 지삼재를 지나...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금성면, 금산읍, 제원면을 지나는 국가 지원 지방도.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서 시작하여 충청남도 부여군, 논산시,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충청남도 금산군, 충청북도 영동군, 경상북도 상주시, 구미시, 군위군, 의성군, 청송군, 포항시를 거쳐 경주시 용강동까지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금산군 내는 진산면과 금성면, 금산읍, 제원면을 거쳐 지나간다....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양곡리와 금산군 추부면 신평리를 연결하는 지방도. 일반 지방도는 지방 자치 단체마다 주요 번호가 있으며, 충청남도는 600번대이기 때문에 600번대 번호를 붙였다. 금산군 부리면에서 추부면을 잇는 도로이기에 부리~추부선이라고도 부른다....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 복수면을 지나는 지방도.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계북면에서 시작하여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무주군을 거쳐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까지 연결하는 지방도이다. 금산군 내는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과 복수면을 거쳐 지나간다....
교량
-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 있는 지형지물의 위로 건널 수 있도록 만든 인공 구조물. 교량은 하천이나 계곡, 산지 등 도로의 기능을 저해하는 지형을 넘기 위해 만들어진 구조물이다. 금산군에는 금강과 금산천, 유등천, 봉황천 등 지류 하천들이 흐르고 있어 교통의 장애 요소로 작용함으로써 도로가 개설되면서 교량이 만들어졌다. 이전 나루였던 곳에 지금은 다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구례리에 있는 교량.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구례리 246-6번지와 249-13번지를 잇는 교량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만악리에 있는 교량.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만악리 615-2번지와 616-7번지를 잇는 교량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신대리에 있는 교량. 국도 제37호선 상에 위치하며, 금산천을 지난다. 금산군 금산읍 양지리 열두봉재 지리수골에서 발원하여 금산읍 중심을 뚫고 봉황천과 합류하는 금산천을 건너는 다리이다. 중도오거리에서 무주, 부리 방향으로 가는 무금로 길목에 위치한다. 좌측에는 1982년 10월 13일에 개통하여 중도오거리와 인삼시장을 잇는 금천대교가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양곡리에 있는 교량.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양곡리 649-1번지와 149-4번지[양곡사거리]를 잇는 교량이다....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의 월영산과 부엉산을 잇는 출렁다리. 다리 위에 오르면 금강 상류의 수변 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에 있는 교량.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 443-1번지와 502-1번지를 잇는 교량이다....
터널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와 대전광역시 동구 삼괴동을 연결하는 터널. 대전에서 금산으로 들어오고 나가는 관문으로서, 금산 지역에 있기 때문에 금산터널이라고 명명하였다....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신평리와 성당리를 연결하는 터널. 터널이 신평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의 이름을 따서 신평터널이라 부르게 되었다....
나루
-
충청남도 금산 지역에서 배를 이용하여 강이나 내를 건너 다닐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곳. 나루는 그 규모에 따라 도(渡)와 진(津)으로 나눈다. 전통 시대 금산 지역은 금강 문화권에 속하였는데, 주로 동쪽 지역에 금강 본류가 흐르기 때문에 지금의 제원면, 부리면에 수많은 나루가 형성되었다....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에 있는 나루터. 천내나루는 금산군 지역에 있던 나루들 중에서는 가장 규모가 컸다. 천내마을에서 배를 타고 천내강[금강]을 건너 저곡마을[개티]로 왕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