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153 |
---|---|
한자 | 交通 |
영어공식명칭 | Transportati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대은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지역에 있는 운송 수단과 운송로.
[개설]
금산군은 충청남도 남동부에 자리하여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논산시, 충청북도의 옥천군·영동군, 전북특별자치도의 무주군·완주군과 인접하여, 이들 지역과 이어 주는 도로 및 지방도가 발달하였다. 금산군의 중앙부로 통영대전고속도로가 지나가고, 금산읍 시가지를 비롯하여 중동부에는 남북 방향으로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37호선이 관통하며, 지방도와 군도가 동서 방향으로 지나가고 있다.
[금산군 교통의 역사]
금산군의 전통적인 교통은 육로 교통과 수운 교통으로 나눌 수 있다. 과거 금산은 호남에서 충청도로 진입하는 관문 중 하나였으며, 한양에서 출발하여 제주에 이르는 제5로의 지선에 해당하였다. 그렇기에 금산 일대에는 수많은 역원이 운영되었다. 금산군의 대표적인 역원으로는 제원역이 있었다. 제원역은 제원도를 관할하는 찰방역으로 제원역을 비롯하여 소천역[무주], 달계역[용담], 단령역[진안], 옥포역[고산]을 관할하였다. 초기에는 역승 1인을 두어 관리하였으며, 1535년(중종 31) 역승이 폐지되고 찰방제가 도입되어 제원역에도 찰방이 파견되었다. 제원역 소속 원은 총 6개가 있는데, 이 중 지금의 금산 지역에 속하는 것은 4개[남제원, 북정원, 동원, 금곡원]이다. 이외에도 진산 지역에는 3개의 원[삼식원, 요광원, 신창원]이 있었다.
금산군은 금강 유역권에 속하여 금강 수운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금강의 상류에 있어 강경이나 부강처럼 시장이 발달하지는 않았으나, 이를 잇기 위한 교통로가 발달하였다. 또한 강을 건너가기 위한 나루가 설치되었으며, 주막 등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들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런 수운 교통은 신작로의 건설과 철도의 등장으로 쇠퇴하게 된다.
1923년 1월 8일에 금산운수주식회사가 금산-대전 간 자동차 운전을 개시하였다. 금산운수주식회사는 1943년 조선 자동차 통제령에 따라 전북여객운수주식회사로 발족하였다. 1945년 광복 후 한동안은 일제 강점기의 도시 경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가 1974~1975년 도시 계획에 따라 도로 및 시가지 구획 정리가 이루어졌다. 그 과정에서 후곤천 이북 지역으로 시외버스 정류장이 이전하였다. 1980년 7월 1일 한일교통이 설립되어 금산군의 시내버스 운영을 책임지고 있으며, 2021년 기준 총 21대의 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금산군의 교통 특성]
금산군 지역에는 고속 도로 1개 노선, 일반 국도 3개 노선, 국가지원지방도 1개 노선, 지방도 2개 노선이 지나간다. 2021년 기준 금산군의 도로 연장은 총 354㎞이며, 도로 포장률은 89.8%이다.
[금산군의 자동차 등록 현황]
2021년 12월 31일 기준 금산군의 자동차 차종별 등록 현황을 보면, 총계는 3만 969대로 이 중 승용차는 2만 512대, 화물차는 8,912대, 승합차는 1,405대, 특수 차종은 140대이다. 2021년 금산군의 주차장 수는 2,346개소, 2만 2030면이다.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109건으로 사망자 8명, 부상자 152명이며, 사고 유형별로는 차 대 사람 사고는 22건, 차 대 차 사고는 72건, 차량 단독 사고는 15대이다. 2019년 기준 금산군 택시 현황은 108대[업체 28대, 개인 80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