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200160 |
---|---|
한자 | 地方道 第六百三十五號線 |
영어공식명칭 | Local Road 635 |
이칭/별칭 | 계북~대전선,진산~대전선,635번 지방도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남이면|진산면|복수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대은 |
증설|폐설 시기/일시 | 2001년 6월 30일 - 지방도 제635호선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 구간 개통 |
---|---|
증설|폐설 시기/일시 | 2003년 7월 21일 - 지방도 제635호선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건천리 구간 개통 |
증설|폐설 시기/일시 | 2009년 4월 30일 - 지방도 제635호선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구례리 구간 개통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 지방도 제635호선 복수~대전 간 확포장 공사 실시 |
증설|폐설 시기/일시 | 2020년 10월 30일 - 지방도 제635호선 확장 개통 |
전구간 | 지방도 제635호선 - 충청남도 금산군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지방도 제635호선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남이면|진산면|복수면![]() |
성격 | 지방도 |
길이 | 54.4㎞ |
차선 | 2~4차로 |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 복수면을 지나는 지방도.
[개설]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계북면에서 시작하여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무주군을 거쳐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까지 연결하는 지방도이다. 금산군 내는 남일면, 남이면, 진산면과 복수면을 거쳐 지나간다.
[명칭 유래]
일반 지방도는 지방 자치 단체마다 주요 번호가 있으며, 충청남도는 600번대이기 때문에 600번대 번호를 붙였다.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계북면과 대전을 잇기에 계북~대전선이라고 부르며, 진산~대전선이라고도 부른다.
[제원]
총 연장은 85.4㎞이며, 이 중 금산군 구간은 54.4㎞이다. 샛고개굴길[샛고개터널]부터 구례2교차로까지 왕복 4차선이며, 나머지 구간은 왕복 2차선이다.
[건립 경위]
지방도 제635호선은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과 대전광역시를 연결하며, 금산군의 서부권 면 지역을 잇는 도로이다.
[변천]
지방도 제635호선은 금산~대전을 잇는 진산~대전선이 1995년 대전광역시의 출범으로 인한 노선 재배정 과정에서 축소되면서 대전 이남의 충청남도 금산군,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진안군·장수군의 지방도를 통합하여 현재의 노선이 되었다. 2001년 6월 30일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 1.96㎞ 구간이, 2003년 7월 21일 금산군 남이면 건천리 4.5㎞ 구간이, 2009년 4월 30일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구례리 5.7㎞ 구간이 개통하였다. 2010년에 복수~대전 간 확포장 공사가 진행되면서, 2020년 10월 30일 확장 개통하였다.
[현황]
지방도 제635호선은 남일면계를 기점으로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과 연결되며, 복수면계를 기점으로 대전광역시 중구 안영동과 연결된다. 교통 통계량은 2022년 금산군 복수면 곡남리를 기준으로 총 1만 2587대가 통행하며, 차종별로는 승용차 9,147대, 버스 355대, 화물차 3,085대가 운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