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18
한자 身安寺 大光殿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신안리 5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기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3년 12월 26일연표보기 - 신안사 대광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호 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0년대 - 신안사 대광전 보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신안사 대광전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신안사 대광전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신안리 52 지도보기
성격 불전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5칸
측면 칸수 3칸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신안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신안사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신안리 신안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개설]

천태산(天台山)[신음산] 자락에 있는 신안사(身安寺)는 신라 시대인 583년(진평왕 5)에 무염 선사가 창건한 절로 알려져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신안사’라는 절의 이름은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敬順王)[재위 927~935]이 “주위 산수의 경치가 아름답고 조용하여 몸과 마음이 편안하다”고 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신안사는 규모가 큰 절이었는데 6·25전쟁 때 전각 다수가 불타면서 지금은 신안사 극락전(身安寺 極樂殿)신안사 대광전(身安寺 大光殿)만 남아 있다.

[위치]

신안사 대광전금산군 제원면 신안리 52번지, 천태산에 있다. 신안사 입구를 지나면 신안사 7층 석탑을 볼 수 있는데, 석탑에서 우측으로 가면 신안사 극락전이 나온다. 신안사 극락전에서 좌측으로 꺾어 쭉 직진하면 신안사 대광전이 자리하고 있다.

[변천]

신안사 대광전은 조선 후기에 건립되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에 1996년 4월 1일 촬영한 신안사 대광전 보수 공사 도면이 있는 것으로 보아, 1990년대에 보수 공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도면은 보수 공사 배면도부터 시작해서 배치도와 앙시도, 와복도, 정면도, 우측면도 등 총 19장이 남아 있다.

[형태]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로, 서쪽을 바라보고 있다. 기단은 자연석을 쌓아 만들었고, 내부의 3칸에는 부처를 모셔 놓은 불단과 불단 뒤쪽의 후불벽이 있다. 석가모니가 설법한 진리를 형성화한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하여 노사나불과 석가여래불이 모셔져 있다. 바닥에는 마루를 깔았고, 외부에도 쪽마루를 깔았다.

[현황]

신안사 대광전은 1973년 12월 26일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제3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소유자 및 관리자는 대한불교조계종 신안사이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에는 신안사 대광전 정면 5칸 모두가 문으로 되어 있는 모습의 사진이 올라와 있다. 현재는 정면 5칸 중에서 가운데 3칸은 문이 달려 있고, 좌우 1칸씩은 벽체로 되어 있다. 보수 공사 이후 바뀐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 『금산군지』 2(금산군지편찬위원회, 2011)
  •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