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17
한자 身安寺 極樂殿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신안사로 970[신안리 5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초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축|증축 시기/일시 1738년 - 신안사 극락전 중수[1738]
개축|증축 시기/일시 1845년 - 신안사 극락전 중수[1845]
문화재 지정 일시 1985년 7월 19일연표보기 - 신안사 극락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7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신안사 극락전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신안사 극락전 -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신안사로 970[신안리 54]지도보기
성격 불전
양식 다포식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3칸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신안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신안사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신안리 신안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위치]

신안사 극락전(身安寺 極樂殿)금산군 제원면 신안리 54번지 신안사(身安寺) 안에 있다.

[변천]

신안사 극락전의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다. 다만, 1738년(영조 14)과 1845년(헌종 11)에 각각 중수하였다는 상량문이 발견되어 17세기 후반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한다.

[형태]

아미타여래를 주존(主存)으로 하여 좌우에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모셨다. 건축 양식은 기둥강부를 결구한 창방 위에 평방을 놓고, 객간(客間)에 2구(具)씩의 주간포(柱間包)를 배치한 다포식 건물이다. 공포(栱包)는 내4출목, 외3출목으로 구성하였는데 외부로 돌출된 우설(牛舌)은 앙서 형상을 이루었고, 내부는 운궁(雲宮)으로 되어 연봉(蓮棒)과 연화(蓮花)를 초각하였다. 자연석 기단 위에 덤벙주초석을 놓아 정면 3칸, 측면 3칸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기둥은 원형으로 약한 배흘림기둥의 형태이다. 정면 3칸에는 모두 4분합 세살문을 달았는데, 가운데는 빗살문이고 양쪽 칸은 격자살문이다. 내부는 우물마루이며, 후면 중앙 칸에 내고주(內高柱)를 세워 후불벽을 만들고 불단을 조성하여 불상을 안치하였다.

[현황]

신안사 극락전은 1985년 7월 19일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17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소유자 및 관리자는 대한불교조계종 신안사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