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227
한자 南一面
영어공식명칭 Namil-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3월 1일연표보기 - 전라북도 금산군 남일면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63년 1월 1일 - 전라북도 금산군 남일면에서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으로 개편
성격 법정면
면적 47.1㎢
가구수 1,418가구
인구[남/여] 2,772명[남 1,422명/여 1,350명]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 있는 법정면.

[명칭 유래]

금산군의 남쪽에 자리한 지역이라 남일면(南一面)이라고 불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시대에는 금산군의 남일면과 남이면(南二面), 부서면(富西面) 지역에 속하였다. 남이면은 1789년(정조 13)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남상면(南上面)과 남하면(南下面)으로 나온다. 1895년(고종 32) 지방 관제 개편 때 공주부 금산군 관할이 되었고, 1896년 전라북도 금산군에 편제되었다. 1914년 3월 1일 행정 구역을 병합할 때 남일면 지역과 남상면 매곡리 일부, 부서면 나천리 일부를 합하여 남일면으로 하였다. 1963년 1월 1일 지방 행정 체제 개편에 따라 금산군이 충청남도에 편입되어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이 되었다.

[자연환경]

남일면의 북쪽은 금산군 금산읍, 동쪽은 금산군 부리면과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남쪽은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용담면, 서쪽은 금산군의 남이면, 금산읍과 접한다. 남일면은 크게 남서쪽 성봉에서 이어지는 산줄기와 남일면 진악산에서 이어지는 산줄기로 둘러싸여 있다. 성봉이 남이면과 경계를 이루며 북쪽 산제당산과 이어지고, 남쪽의 성덕봉, 갈미봉, 목사리재 산줄기로 이어진다. 이 산줄기는 남일면의 동쪽에 있는 삼태봉, 덕기봉, 서낭당고개, 황새봉으로 이어진다. 진악산은 비실재를 지나 금산읍과 경계를 이루며 황풍리 뒷산으로 이어진다. 성봉에서 발원하는 신동천, 성덕봉과 갈미봉에서 발원하는 신정천, 남이면에서 흘러오는 보석천 등이 덕천리에서 봉황천과 합류하고, 봉황천금산읍 방향으로 흐른다. 하천 주변에는 들이 발달하였고, 마을들이 들어서 있다.

[현황]

남일면은 9개 법정리[덕천리·마장리·상동리·신동리·신정리·신천리·음대리·초현리·황풍리], 19개 행정리, 89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적은 47.1㎢로, 금산군 전체 면적[557.14㎢]의 약 8.2%에 해당한다. 2023년 10월 31일 기준 1,418가구, 2,772명[남자 1,422명, 여자 1,350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37호선, 지방도 제635호선 등이 남일면을 종횡한다. 교육 기관으로 남일초등학교가 있고, 문화 유적으로 황풍사(皇風祠), 산천재서원(山泉齋書院), 금산 음대리 세효각(錦山 陰大里 世孝閣), 정충사(精忠祠), 정의사(靖義祠), 숭모사(崇慕祀), 금산 신동리 가마터(錦山 新洞里 -)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