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949
한자 文化·藝術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소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2년 8월 17일 - 금산 물페기농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6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0년 9월 20일 - 금산농바우끄시기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2호 지정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 활동과 문화 교육 정책, 문화 체험 활동.

[금산군 문화·예술의 특징]

금산군 지역의 문화·예술은 지형적 특이성과 관련하여 발전하였다. 금강(錦江) 상류에 위치한 금산군은 백두대간을 끼고 있는 충청남도의 대표적인 산골 지역으로, 평야 지대와는 다른 문화·예술의 특징을 보여 준다.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에 속하였으며, 경상도·전라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경상도와 전라도의 민속적 특징을 부분적으로 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금산 물페기농요[충청남도 무형유산 제16호]를 들 수 있다. 금강 상류에 있는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노령산맥(蘆嶺山脈)과 소백산맥(小白山脈) 사이 부리 분지의 평촌들에 자리한 마을로, 금산군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벌말마을·물페기마을·동기마을·절골마을 등 4개의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그 가운데 물페기마을은 비가 많이 오면 침수되는 까닭에 ‘물페기’라고 부른다. 물페기마을에서 200년~300년 전부터 두레 때 불려지던 금산 물페기농요는 농사 시작부터 끝까지의 과정을 노래와 동작으로 표현하고 있다. 지역의 특성상 삼밭이 많았기에 삼과 관련한 민요 가사가 나타나는 점이 특징이며, 경상도와 전라도 두 지역의 민요 영향을 받았다. 또한 금산 물페기농요는 평야 지대와 산악 지대의 소리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 다른 문화재인 금산농바우끄시기[충청남도 무형유산 제32호]는 금강 변인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느재마을을 중심으로 하여 인근 마을과 제원면(濟原面) 일대에서 열리는 기우제이다. 여성들을 중심으로 하였던 금산농바우끄시기농바우와 관련한 여러 행사들 중 금산군만의 특징을 보여 준다. 집집마다 추렴한 짚으로 동아줄을 꼬아 농바우에 거는 용줄 매기, 여성들이 농바우에서 비 오기를 기원하는 산제, 계곡물에 아낙들이 옷을 벗고 떼 지어 들어가 물을 까부는 날궂이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금강 상류에 위치한 금산군은 과거 마을 단위의 나루터 운용이 매우 활발하였던 지역으로, 배를 건조할 때는 호혜(互惠)를 전제로 한 주변 마을의 협조와 배걸립굿을 통하여 기금을 조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배걸립굿은 수명이 다한 나룻배를 다시 건조하기 위해 나루를 자주 이용하는 주변 마을로 걸립을 나가 기금을 모으는 민속 관행으로, 배걸립굿의 전통은 조선 후기 이래 금산 지역 민속 문화의 중요한 갈래를 형성하였다.

[금산군의 문화·예술 교육]

금산군은 인구가 5만 314명인 작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문화·예술 교육에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금산군에는 문예 회관, 도서관, 스포츠 센터, 청산회관, 건강의 집, 보건소, 만남의 집, 청소년의 집, 장애인의 집 등 여러 개의 기관이 한 단지 내에 있는 금산다락원과 지역 주민에게 다양한 문화 서비스와 문화 체험, 문화·예술 창작 공간을 제공하는 금산문화의 집, 지역 유일의 문화 공간으로서 다양한 문화·예술 정보를 습득하고 체험할 수 있는 추부문화의 집, 청소년들이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창의력을 다질 수 있는 금산청소년미래센터 등이 있다. 이러한 문화 예술 기관을 통해 금산군은 지역 주민에게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더불어 문화·예술 저변 확대를 위한 교육을 전개하고 있다.

[금산군의 축제 및 체험 마당]

인삼으로 잘 알려진 금산군의 축제로는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금산세계인삼축제 이외에 금산축제관광재단에서 주관하는 비단고을산꽃축제금산삼계탕축제 등이 있다. 축제 기간 이외에도 바리실마을과 수통마을, 닥실마을, 두곡마을, 막현리마을, 조팝꽃피는마을, 진산애행복누리센터, 산안2리마을, 적벽강마을, 적벽강 비밀의 섬 마을에서 다양한 농촌 체험을 즐길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