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51
한자 皇風祠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황풍2길 3-9[황풍리 산2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53년연표보기 - 황풍사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9년 - 황풍사 만리황풍비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2011년 8월 16일연표보기 - 황풍사 금산군 향토유적 제23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황풍사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황풍사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황풍2길 3-9[황풍리 산22]지도보기
성격 사당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반
소유자 김병래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황풍리에 있는 사당.

[개설]

황풍사(皇風祠)금산 김씨(錦山金氏)의 시조 낙천재(樂天齋) 김신(金侁)을 배향한 사당이다. 고려 고종 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를 지낸 김신은 원나라에 가서 공훈을 세워 금자광록대부행요양성참정(金紫光祿大夫行遼陽省參政)의 관직을 제수받았다. 고려에 돌아온 뒤 김신의 고향 진례현(進禮縣)은 금주군(錦州郡)으로 승격되었으며, 김신지금주사(知錦州事)에 임명되었다. 김신은 원래 금산군 남이면 성곡리에 있던 성곡서원(星谷書院)윤택(尹澤)길재(吉再), 김정(金淨), 고경명(高敬命), 조헌(趙憲)과 함께 배향되었었다. 그러나 1864년(고종 1)~1871년(고종 8) 서원 훼철이 전국적으로 이루어질 때 성곡서원이 철폐되었고, 김신길재와 함께 청풍사(淸風祠)에서 추배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1953년에 황풍사를 건립하면서 이안(移安)하였다.

[위치]

황풍사금산군 남일면 황풍리 산22번지에 있다. ‘황풍리’라는 지명은 황풍사에 배향된 김신에게 원나라 성종이 친필로 써 주었다는 필적과 관련이 있다.

[변천]

황풍사는 1953년에 건립하였다. 1969년 황풍사 입구에 ‘만리황풍(萬里皇風)’이라 적힌 비석을 세웠다. 비석은 보호각 아래에 위치한다. 한편, 황풍사는 지역 유지였던 금산 김씨의 협력이 필요하여 금산군 남이면 성곡리에 세워진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금산 지역 최초의 서원인 성곡서원남일면 황풍리김신 칙령 사당과 가까운 곳인 남이면 성곡리에 세워진 것도 지역 유력자였던 금산 김씨의 협력이 필요하였다는 것을 보여 준다.

[형태]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팔작지붕 건물로, 사당 1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당 왼편에 있는 황풍당(皇風堂)에는 후손이 기록한 ‘황풍사중수기(皇風祠重修記)’가 있다.

[현황]

황풍사는 2011년 8월 16일에 금산군 향토유적 제23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소유자는 김병래이다. 매년 음력 10월 19일에 배향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