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200519
한자 靈泉庵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기관 단체/사찰
지역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보석사1길 148[석동리 714]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박초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1년 4월 16일연표보기 - 영천암 금산군 향토유적 제4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영천암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영천암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보석사1길 148[석동리 714]지도보기
성격 암자
소유자 보석사
관리자 보석사

[정의]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보석사 부속 암자.

[개설]

영천암(靈泉庵)보석사(寶石寺)에 부속된 암자이다. 절 뒤에 있는 암굴에서 석간수가 끊임없이 솟아오르는데, 이 물이 병자에게 특효 있는 영험한 샘이라고 하여 절 이름을 ‘영천(靈泉)’이라고 지었다.

[위치]

영천암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714번지에 있다. 보석사에서 보석사골을 따라 북서쪽으로 2㎞ 정도 가면 산악로에 영천암이 자리하고 있다.

[변천]

영천암은 통일 신라 시대에 조구가 수도장으로 창건한 절이다. 본래는 영암사라는 사찰이었는데, 조선 시대에 폐찰된 것을 살려 후대에 ‘영천암’으로 부르게 되었다. 경내에 있는 무령수각은 현대에 들어서 개축·보수하였다.

[형태]

경내에 무량수각과 칠성각(七星閣)이 있다.

[현황]

영천암은 1991년 4월 16일에 금산군 향토유적 제4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보석사에 부속된 암자로서 보석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